JMB

eISSN 2093-6338

Table. 1.

Table. 1.

ASCO/AMP 치침의 단계(tier) 체계

분류 의미 근거
Tier 1 임상적 의의가 강한 변이 (Strong clinical significance) Level A 근거: 특정 암 종에서 FDA 승인되거나 전문적 지침에 포함된 치료제의 치료 반응 혹은 내성 예측과 관련된 유전자의 변이 또는 전문적 지침에 암의 진단 혹은 예후와 관련된 것으로 포함된 유전자의 변이 Level B 근거: 잘 고안된 연구에 의해 특정 암 종에서 약제에 대한 치료 반응 혹은 내성, 암의 진단 혹은 예후와 관련된 것으로 전문가 집단의 합의가 있는 유전자의 변이
Tier 2 임상적 의의가 있을 수 있는 변이(Potential clinical significance) Level C 근거: 다른 암 종에서 FDA 승인된 약제에 대한 치료 반응 혹은 내성을 예측하는 유전자의 변이 혹은 임상 시험 참여가 가능한 유전자의 변이, 여러 개의 소규모 연구에서 암의 진단 혹은 예후와 관련된 것으로 보고된 유전자의 변이 Level D 근거: 전임상 시험 혹은 소규모 연구 혹은 몇 개의 사례 보고가 있는 유전자의 변이
Tier 3 임상적 의의가 불분명한 변이(Unknown clinical significance) 인구집단 데이터베이스에서 보고되지 않았거나 암 관련 데이터 베이스에서 보고되지 않은 유전자의 변이암과의 확실한 연관성이 밝혀지지 않은 유전자의 변이
Tier 4 양성 혹은 양성 가능성이 높은 변이(Benign or likely benign) 인구집단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의한 빈도로 관찰되는 유전자 변이 암과의 연관성이 보고된 바 없는 유전자의 변이

Abbreviation: ASCO/AMP,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ssociation for Molecular Pathology.

Lab Med Online 2021;11:1~10 https://doi.org/10.47429/lmo.2021.11.1.1
© Lab Med 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