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 Service
Guideline
일반화학 및 혈액 검사를 위한 LOINC 적용 지침
Application Guidelines of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LOINC) for General Chemistry and Hematology Tests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진단검사의학과1, 씨젠의료재단 진단검사의학과2,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진단검사의학과3, 녹십자의료재단 진단검사의학과4,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해운대백병원 진단검사의학과5,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동탄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6,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7,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동국대학교일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8,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건국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9,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10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1, Sanggye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Seoul;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2, Seegene Medical Foundation, Seoul;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3,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heona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4, Green Cross Laboratories, Yongi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5, Haeunda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6, Hallym University Dongtan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Hwaseong;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7,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8,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Goyang;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9,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10,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yang, Korea
Correspondence to: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Lab Med Online 2025; 15(1): 28-35
Published January 1, 2025 https://doi.org/10.47429/lmo.2025.15.1.2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for Laboratory Medicine.
Keywords
LOINC는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의 약자로, 검사실 및 임상 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해 1994년 인디애나 대학교 비영리 의료 연구 기관인 리젠스트리프 연구소(Regenstrief Institute)에서 개발되었다. 리젠스트리프 연구소는 LOINC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으며, 2024년 2월 배포된 버전 2.77에는 102,465개의 용어가 포함되어 있다. LOINC는 전 세계에서 검사실 및 임상 관찰의 표준으로 널리 채택되어, 현재 170개국에서 6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12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30개 이상의 국가에서 LOINC를 국가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국내에서는 2004년 보건산업진흥원 산하 보건의료정보 표준화위원회에서 표준화실무위원회가 구성되어 LOINC data-base에 맞춰 7,508개의 진단검사에 대한 용어를 K-LOINC로 정립한 바 있고[1], 2015년 개정에서는 총 48,990개의 진단검사가 K-LOINC로 정립되었다[2]. 2022년에도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 LOINC의 현행화 및 매핑 가이드를 발간한 바 있으나[3], 아직 실제 국내 검사실에서의 활용에 대한 보고는 없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의료데이터 간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높이기 위해 국제표준체계 중심 표준을 개발하고 확산 전략을 마련하도록 보건의료데이터 표준화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추진위 산하에 거버넌스, 핵심교류데이터 및 표준기술 워킹 그룹을 두어 교류 시 핵심이 되는 데이터 항목, 용어 표준 및 전송 규격 등을 규정하는「보건의료데이터 용어 및 전송 표준」을 개정하였다[4]. 한국 핵심교류데이터(Korea Core Data for Interoperability, KR CDI)는 의료기관, 공공기관, 민간, 환자 등이 국내에서 의료데이터교류 시 필요한 표준을 포괄적으로 정의한 것으로, 분류(class), 항목(element), 항목값(value set)의 집합이다. ‘항목(element)’의 필수여부는 R (required, 필수), R2 (required if exists, 값이 있다면 필수), O (optional, 선택)로 구분되며, 진단검사 분류에서의 항목은진단검사 항목명(R), 진단검사 결과(R2), 진단검사 보고일시(R), 참고구간(R2), 결과 판독(O), 진단검사 상태(R)로 이루어져 있다(2023년 9월 고시된 KR CDI 기준). KR CDI에서는 진단검사 항목명에 표준용어로 EDI 코드를 사용하고 있지만, 현재 LOINC 도입이 검토중이다. KR CDI는 매년 갱신 예정으로 진단검사 분류에 포함된 항목 및 표준용어는 추가 또는 수정될 수 있다.
본 지침은 한국 핵심교류데이터에서 진단검사 항목명의 표준용어로 LOINC를 사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일반화학검사와 혈액검사의 검사명의 LOINC 매핑 원칙과 예시를 보여주고자 한다. 예시로 임상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임상화학 35개 검사와 진단혈액 분야의 25개 검사를 선정하여 LOINC 매핑 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자 한다.
LOINC 코드 매핑의 개발과 적용
1. LOINC 적용 지침 개발 과정
이번 LOINC 적용 지침의 목표는 임상 검사실 실무에 사용 가능한 수준의 LOINC 매핑의 원칙과 예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진단검사의학재단 표준화사업부가 초안을 작성하고 2명의 용어 전문가와 7명의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로 구성된 자문 패널이 근거에 기반해 검토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검사에 대해 수행하는 LOINC 매핑은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또한 우리나라에서 수행되는 검사 중 상위 42개 항목이 전체 검사 건수의 약 90%를 차지하는 것을 고려할 때[6], 다빈도 항목부터 정확하게 매핑하여 실제 업무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이에 진단검사의학재단 표준화사업부에서는 일반화학과 혈액 분야의 다빈도 검사 항목을 대상으로 먼저 적용 지침을 만들기로 하였다. 표준화사업부 위원들이 각 검사 항목에 대해서 LOINC 홈페이지에 게재된 각 코드의 상세 정보[7], 일반화학과 혈액 분야의 LOINC 매핑 가이드[8, 9], 호주의 Royal College of Pathologists of Australasia (RCPA)에서 제안한 표준용어 모음[10] 등을 검토한 뒤 각 검사에 대해 국내 LOINC 표준 코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표준 코드는 자문 패널에 의해서 검토 및 승인되었다.
2. LOINC 체계와 구성요소
LOINC 용어는 LOINC 코드와 이름(fully specified name, FSN)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LOINC 코드는 고유하고 영구적인 식별자로서, 3–8자의 길이를 갖는다. FSN은 검사 항목(Component; 예: 측정, 평가 또는 관찰되는 대상), 속성(Property; 예: 질량, 물질, 촉매 활성), 시간(Time Aspect; 예: 24시간 수집), 검체(System; 예: 관찰이 이루어진 컨텍스트 또는 시료 유형), 척도(Scale; 예: 서수, 명목,서술형), 방법(Method; 예: 측정 또는 관찰에 사용된 절차)이 있다.
LOINC 코드와 FSN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각 LOINC 코드는 특정 FSN에 대응한다. FSN은 LOINC 코드가 나타내는 검사 항목의 세부 정보를 설명하며, LOINC 코드는 이 FSN을 고유하게 식별한다. 예를 들어, FSN “Glucose [Mass/volume] in Se-rum or Plasma”는 특정 검사 항목을 정의하고, 이에 대응하는 LOINC 코드 “2345-7”은 해당 검사 항목을 고유하게 식별한다.
항목을 정의하는 가장 대표적인 이름인 FSN은 방법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6개의 항목(component, kind of property of observation or measurement, time aspect, system [sample], scale, method [optional])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항목은 “:”으로 구분되어 기술한다.
1) 검사 항목(Component)
해당 검사가 측정하는 특정 분석물을 기술하며, 매핑에서 가장중요하다.
LOINC에서는 Component 부에 특정 분석물뿐만 아니라, 부하검사(challenge; 예: Glucose^1H post meal), 조정(adjustment; 예: Calcium.ionized^adjusted to pH 7.4), 제수(divisor; 예: Valproate. free/Valproate.total) 등을 포함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 기호로 연결된 분석물들은 연결된 분석물질들을 구분하지 않고 검출하는 것을 의미하고, ‘&’ 기호는 연결된 분석물질이 구분되어 검출됨을 뜻한다.
2) 속성(Property)
속성에는 다양한 항목들이 포함되는데, 상위 개념인 척도에 따라 다양한 속성들이 존재하게 된다. 결과를 양성, 음성 또는 1+, 2+ 등의 등급으로 보고하는 PrThr (Presence or Threshold), 음성과 양성인 경우 특정 타입을 보고하는 Prid (Presence or identity), 양성인 검체에서 타입을 보고하는 Type 등의 질적 척도와 mg/dL에 해당하는 질량 농도(mass concentration, MCnc), %에 해당하는 분율(number fraction, NFr) 등의 양적 척도가 존재한다.
3) 시간(Time Aspect)
대부분의 검사실 검사는 시점(point in time, Pt)에 시행되는 검사이나, 24시간 동안 수집한 검체를 검사하는 “24H” 등도 존재한다. 이뿐만 아니라, 임의뇨(random urine)나 수집뇨(time urine collection)를 하나의 코드로 보고하는 경우, 지정되지 않음을 뜻하는 “XXX”를 선택할 수도 있다.
4) 검체(System)
검사 중인 검체의 유형을 나타내며, 전혈(Bld), 혈청 또는 혈장(Ser/Plas), 소변(Urine), 뇌척수액(CSF) 등이 해당한다. 특정 LOINC 코드들은 슬래시(/)를 이용하여 여러 검체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해당하는 모든 검체에 대해서 승인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어떤 검체를 이용하더라도 임상적으로 동등한 결과를 보고할 수 있고, 그중 하나의 검체 이상에 대해 승인되었음을 의미한다. XXX는 다음 두 경우에만 사용될 것이 권고되는데 하나는 진실로 어떤 검체인지 알 수 없는 경우와 다른 하나는 LOINC 코드 이외의 방식으로 어떤 검체인지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며 이외에는 기관 간 매핑 실패를 초래하기 쉬워서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고한다.
5) 척도(Scale)
속성의 상위 개념에 해당한다. 양적척도(quantitative, Qn)는 숫자로 표기되는 검사 항목들이 해당하며, 질적 척도(qualitative)는 서수 척도(Ord) 또는 명목 척도(Nom) 등으로 나뉜다.
6) 방법(Method)
사용된 특정 방법이 결과 해석에 임상적으로 중요한 경우 방법을 지정한다. 많은 화학 및 혈액학적 검사에서는 검사방법의 분류가 대부분 중요하지 않아서 “지정하지 않음(methodless)”인 코드를 이용한다. 일부 면역화학/혈청학 검사에서는 검사법에 따라 검사의 민감도 및 특이도가 달라져 해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방법을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방법을 보고하는 경우에도가장 상세한 방법 구분이 아니라 좀 더 일반적인 수준에서 기술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enzyme immunoassay와 chemiluminescence가 임상적으로 동등한 결과를 보고한다고 생각되는 경우 구분하지 않고 immunoassay (IA)로 지정하게 된다. 이 적용 지침에서는 측정법을 구분하지 않는 공통코드를 권장하지만 검사법, 보고 단위, 계산으로 보고하는 경우 등에서 서브코드를 허용하여 제안하였다.
3. 매핑에 필요한 최소한의 검사 정보
1) 분석 물질, 검체 및 방법
올바른 LOINC 용어를 선택하기 위해서 분석 물질, 검체 유형 및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경우 검사방법이 포함된다. 이 정보는 검사 시약의 패키지 인서트, 검사실 자체의 운영지침서, 검사실 카탈로그 또는 LIS의 검사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검사방법은 특정 방법이 검사 처방 및/또는 결과 해석에 필요한 경우에 지정되는 것이보통이다. 분석물 또는 검체가 검사명에 특정되지 않은 경우 시작하기 전에 해당 정보를 찾아야만 한다. 시험 결과를 다른 종류의검체로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다른 필드에 검체 정보를 표시할수 있다.
2) 예시 결과
예시 결과 및 관련 정보(예: 참조 범위)는 검사 이름만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해 보이는 검사를 구별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예를 들어, 1+, 2+, 3+ (LOINC Scale Ord)와 같이 순위가 매겨진 정성적 결과가 있는 검사와 adenovirus 유형(LOINC Scale Nom)과 같이 순위를 매길 수 없는 검사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분석은 숫자로 된 결과 값을 생성할 수 있지만 정성적 해석(예: cut-off index 값이 보고되는 양성 또는 음성)으로 보고된다. 따라서 정확한 LOINC 매핑이 발생할 수 있도록 결과가 보고되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측정 단위
측정 단위는 올바른 LOINC 용어에 매핑하는 데 중요하다. 정량적 결과의 경우 LOINC는 질량 농도(mg/dL) 및 물질 농도(mol/L)와 같이 다른 단위의 경우 서로 다른 코드에 매칭된다. 측정 단위가 없으면 같은 정량검사라 하더라도 LOINC 코드를 매칭할 수 없다.
검사에 따라 동일한 국가 내에서 단일 측정 단위로 보고되기도, 다른 단위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일부 체외진단의료기기 공급업체는 검사실에서 기기를 구성한 방식에 따라 결과값을 기기에서 다른 척도로 변환하기도 해서 주의가 필요하다. 이 적용 지침에서 측정 단위의 참조표준으로 사용한 Unified Code for Units of Measure (UCUM)은 측정 단위를 표기하는 시스템으로 진단검사, 제약 등의 과학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측정 단위를 표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11].
4. 일반화학검사의 LOINC 코드 매핑
일반화학검사에 대해서 이 지침에서 권장하는 보고 단위와 LOINC 코드는 Table 1과 같다. 일반적으로 검사법이 명시되지 않은 LOINC 코드를 권장하며, 예를 들어 알부민 측정법은 bromocresol green (BCG)과 bromocresol purple (BCP) 염료 결합 방법이 있으나 검사법을 구분하지 않는 공통코드로 LOINC: 1751-7을 권장한다. CPK (Creatinine kinase; LOINC: 2157-6), γ-GTP (gamma glutamyl transferase; LOINC: 2324-2), 리파아제(Lipase; LOINC: 3040-3), 소디움(Na; LOINC: 2951-2), 알칼리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LOINC: 6768-6), 염소(Cl; LOINC: 2075-0), 총단백(Total Protein; LOINC: 2885-2), 총아밀라아제(Amylase, LOINC: 1798-8), 포타슘(K; LOINC: 2823-3) 등의 항목에 검사법을 구분하지 않는 공통코드를 권고한다.
-
Table 1 Recommended units and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for general chemistry tests using serum/plasma samples
Test items UCUM unit Recommended unit Recommended LOINC code Alanine transaminase (SGPT) U/L U/L 1744-2; 1743-4 Aspartate aminotransferase (SGOT) U/L U/L 88112-8; 30239-8 Creatinine phosphokinase U/L U/L 2157-6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mg/dL mg/dL 2085-9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mg/dL mg/dL 2089-1 Lactate dehydrogenase U/L U/L 14804-9; 14805-6 γ-glutamyl transferase U/L U/L 2324-2 Glucose mg/dL mg/dL 2345-7 Glucose 75 g OGTT (fasting) mg/dL mg/dL 1552-9 Glucose 75 g OGTT (60 minutes) mg/dL mg/dL 1507-3 Glucose 75 g OGTT (120 minutes) mg/dL mg/dL 1518-0 Lipase U/L U/L 3040-3 Mg mg/dL mg/dL 19123-9 Osmolality mosm/kg mosm/kg 2692-2 Na mmol/L mmol/L 2951-2 Albumin g/dL g/dL 1751-7 Alkaline phosphatase U/L U/L 6768-6 Cl mmol/L mmol/L 2075-0 Uric acid mg/dL mg/dL 3084-1 Urea nitrogen mg/dL mg/dL 3094-0 P mg/dL mg/dL 2777-1 Direct bilirubin mg/dL mg/dL 1968-7 Fe μmol/L μmol/L 14798-3 Total iron binding capacity μg/dL μg/dL 2500-7 Total protein g/dL g/dL 2885-2 Total bilirubin mg/dL mg/dL 1975-2 Amylase (total) U/L U/L 1798-8 Total Ca mg/dL mg/dL 17861-6 Total cholesterol mg/dL mg/dL 2093-3 Creatinine mg/dL mg/dL 2160-0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N/A N/A Triglyceride mg/dL mg/dL 2571-8 K mmol/L mmol/L 2823-3 Hemoglobin A1c - NGSP % % 4548-4 Hemoglobin A1c - IFCC mmol/mol mmol/mol 59261-8 Total CO2 content mmol/L mmol/L 2028-9 Abbreviations: SGPT, serum glutamic-pyruvic transaminase; SGOT, serum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OGTT, oral glucose tolerance test; UCUM, Unified Code for Units of Measure; LOINC,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N/A, not available; NGSP, National Glycohemoglobin Standardization Program; IFCC, International Federation of Clinical Chemistry and Laboratory Medicine.
그러나, 검사에 따라서 검사법이 다르면 결과값에 차이를 보이므로 검사법에 따라 다른 LOINC 코드를 매핑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LDH (lactate dehydrogenase)의 경우 검사법을 lactate to py-ruvate 반응(LOINC: 14804-9) 또는 pyruvate to lactate 반응(LOINC: 14805-6)을 사용하는가에 따라서 하여야 한다.
이외에 측정법을 구분하지 않는 공통코드를 권장하지만 검사법, 보고 단위, 계산으로 보고하는 경우 등에서 서브코드를 허용한다. 첫 번째, 검사법에 따라 서브코드를 허용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ALT, AST의 경우 LOINC: 1742-6, 1920-8을 권장하였지만, 검사법에 따라서 LOINC 서브코드를 사용할 수 있고 시약에 pyri-doxal-5’-phosphate (P5P)가 포함된 International Federation of Clinical Chemistry and Laboratory Medicine (IFCC) 검사법의 경우 LOINC: 1743-4, 30239-8을, P5P 첨가를 생략하는 modified IFCC 검사법에서는 LOINC: 1744-2, 88112-8의 사용을 권장한다.
두 번째, 보고단위에 따른 경우로, 예를 들어 헤모글로빈A1c의 경우 NGSP 프로토콜로 측정한 당화혈색소 측정값은 %로 보고되며, LOINC: 4548-4를 권장하고 mmol/mol 단위로 결과가 보고되는 IFCC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LOINC: 59261-8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외에도 이 적용지침에서 추천하는 단위로 보고하지 않는 경우 결과보고단위에 따라서 Table 2를 참조하여 질량농도 단위인지 물질농도(몰농도) 단위인지 판단하여 LOINC 코드 매핑을 해야 한다. 이 중 당부하 검사에서도 질량농도/물질농도에 따라서 각각의 추천 LOINC 코드를 제시하였는데,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에서 시행하는 당부하 검사인 75 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에 가장 적합한 코드를 제시하였다.
-
Table 2 Recommend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for general chemistry tests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the reporting units
Test items Recommended unit Mass concentration Substance concentration Example of units Recommended LOINC Example of units Recommended LOIN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mg/dL mg/dL 2085-9 mmol/L 14646-4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mg/dL mg/dL 2089-1 mmol/L 22748-8 Glucose mg/dL mg/dL 2345-7 mmol/L 14749-6 Glucose 75 g OGTT (fasting) mg/dL mg/dL 1552-9 mmol/L 14996-3 Glucose 75 g OGTT (60 minutes) mg/dL mg/dL 1507-3 mmol/L 51597-3 Glucose 75 g OGTT (120 minutes) mg/dL mg/dL 1518-0 mmol/L 14995-5 Mg mg/dL mg/dL 19123-9 mmol/L 2601-3 Uric acid mg/dL mg/dL 3084-1 mmol/L 14933-6 Urea nitrogen mg/dL mg/dL 3094-0 mmol/L 14937-7 P mg/dL mg/dL 2777-1 mmol/L 14879-1 Direct bilirubin mg/dL mg/dL 1968-7 mmol/L 14629-0 Fe μmol/L μg/dL 2498-4 μmol/L 14798-3 Total iron binding capacity μg/dL μg/dL 2500-7 μmol/L 14800-7 Total bilirubin mg/dL mg/dL 1975-2 μmol/L 14631-6 Total Ca mg/dL mg/dL 17861-6 mmol/L 2000-8 Total cholesterol mg/dL mg/dL 2093-3 mmol/L 14647-2 Creatinine mg/dL mg/dL 2160-0 μmol/L 14682-9 Triglyceride mg/dL mg/dL 2571-8 mmol/L 14927-8 Abbreviations: OGTT, oral glucose tolerance test; LOINC,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세 번째, 계산으로 보고하는 경우로 혈액총이산화탄소함량(to-tal CO2 content) 항목의 경우 계산을 통해 보고하는 경우 LOINC 서브코드의 LOINC: 57922-7을 제안한다. Osmolality 항목도 당검사, 요소질소, 소디움 결과를 바탕으로 계산하여 제공하는 경우에는 LOINC 서브코드인 LOINC: 18182-6을 제안한다. 사구체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의 경우에도 계산식에 따라서 LOINC 매핑을 달리 할 수 있다(Table 3). 18세 이상의 성인의 경우 GFR 계산식에 따라서 LOINC 코드를 매핑해야 하며 인종 및 성별에 따라 LOINC 코드가 세분화되어 있으나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공통의 LOINC 코드 사용을 권장한다.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MDRD) 공식은 LOINC: 77147-7을, Chronic Kidney Disease Epidemiology Collaboration (CKD-EPI) 공식은 LOINC: 62238-1을, 시스타틴 C를 기반한 공식은 LOINC: 50210-4를, 크레아티닌과 시스타틴 C 모두를 통합하는 공식을 사용하는 경우 LOINC: 98980-6을 권장한다. 또한 소아에서 Schwartz 공식을 사용하는 경우 LOINC: 50384-7을 권장한다.
-
Table 3 Equations for calculating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LOINC COMPONENT PROPERTY TIME_ASPECT SYSTEM SCALE METHOD_TYPE UCUM_UNITS EQUATIONS 98980-6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 ArVRat Pt Ser/Plas/Bld Qn Creatinine and Cystatin C-based formula (CKD-EPI 2021) mL/min/{1.73_m2} eGFRcr-cys (mL/min/1.73 m2)=135×min (Scr/κ, 1) α×max (Scr/κ, 1) -0.544× min (Scys/0.8, 1) -0.323× max (Scys/0.8, 1) -0.778×0.995 Age (female×0.963) 94677-2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 ArVRat Pt Ser/Plas/Bld Qn Creatinine and Cystatin C-based formula (CKD-EPI) mL/min/{1.73_m2} eGFRcr-cys (mL/min/1.73 m2)=135×min (Scr/κ, 1) α×max (Scr/κ, 1) -0.601×min (Scys/0.8, 1) -0.375× max (Scys/0.8, 1) -0.711×0.995 Age (female×0.961) (Black×1.08) 102097-3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 ArVRat Pt Ser/Plas/Bld Qn Creatinine, Cystatin C, and Urea-based formula (CKiD) mL/min/{1.73_m2} eGFRcr (mL/min/1.73 m2)= 39.8×[ht/Scr]0.456×[1.8/cysC]0.418×[30/BUN]0.079× [1.076male] [1.00female]×[ht/1.4]0.179 98979-8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 ArVRat Pt Ser/Plas/Bld Qn Creatinine-based formula (CKD-EPI 2021) mL/min/{1.73_m2} eGFRcr (mL/min/1.73 m2)=142×min (Scr/κ, 1) α×max (Scr/κ, 1) -1.200×0.9938 Age (female×1.012) CKD-EPI, 2021 62238-1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 ArVRat Pt Ser/Plas/Bld Qn Creatinine-based formula (CKD-EPI) mL/min/{1.73_m2} eGFRcr (mL/min/1.73 m2)=141×min (Scr/κ, 1) α×max (Scr/κ, 1) -1.209×0.9929 Age (female×1.018) (Black×1.159) CKD-EPI, 2009 88293-6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Black ArVRat Pt Ser/Plas/Bld Qn Creatinine-based formula (CKD-EPI) mL/min/{1.73_m2} eGFRcr (mL/min/1.73 m2)=141×min (Scr/κ, 1) α×max (Scr/κ, 1) -1.209×0.9929 Age×1.159 (female×1.018) CKD-EPI, 2009 88294-4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Non-Black ArVRat Pt Ser/Plas/Bld Qn Creatinine-based formula (CKD-EPI) mL/min/{1.73_m2} eGFRcr (mL/min/1.73 m2)=141×min (Scr/κ, 1) α×max (Scr/κ, 1) -1.209×0.9929 Age (female×1.018) CKD-EPI, 2009 77147-7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 ArVRat Pt Ser/Plas/Bld Qn Creatinine-based formula (MDRD) mL/min/{1.73_m2} eGFR (mL/min/1.73 m2)=175×(SCr)-1.154×(Age)-0.203 (female×0.742) (Black×1.212) 48643-1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Black ArVRat Pt Ser/Plas/Bld Qn Creatinine-based formula (MDRD) mL/min/{1.73_m2} eGFR (mL/min/1.73 m2)=175×(SCr)-1.154×(Age)-0.203× 1.212 (female×0.742) 50044-7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female ArVRat Pt Ser/Plas/Bld Qn Creatinine-based formula (MDRD) mL/min/{1.73_m2} eGFR (mL/min/1.73 m2)=175×(SCr)-1.154×(Age)-0.203× 0.742 (Black×1.212) 70969-1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male ArVRat Pt Ser/Plas/Bld Qn Creatinine-based formula (MDRD) mL/min/{1.73_m2} eGFR (mL/min/1.73 m2)=175×(SCr)-1.154×(Age)-0.203 (Black×1.212) 48642-3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Non-Black ArVRat Pt Ser/Plas/Bld Qn Creatinine-based formula (MDRD) mL/min/{1.73_m2} eGFR (mL/min/1.73 m2)=175×(SCr)-1.154×(Age)-0.203 (female×0.742) 50384-7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 ArVRat Pt Ser/Plas/Bld Qn Creatinine-based formula (Schwartz) mL/min/{1.73_m2} eGFR (mL/min/1.73 m2)=41.3 [height/Scr] if height expressed in meters Updated Schwartz (Bedside Schwartz) formula 50210-4 Glomerular filtration rate/1.73 sq M.predicted ArVRat Pt Ser/Plas/Bld Qn Cystatin C-based formula mL/min/{1.73_m2} eGFRcys (mL/min/1.73 m2)=133×min (Scys/0.8, 1) -0.499×max (Scys/0.8, 1) -1.328×0.996 Age (female×0.932) κ, 0.7 for females or 0.9 for males; α, -0.219 for females or -0.144 for males; min, indicates the minimum of Scr/κ or 1; max, indicates the maximum of Scr/κ or 1.
Abbreviations: LOINC,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UCUM, Unified Code for Units of Measure; ArVRat, Volume rate/area; Ser, serum; Plas, plasma; Bld, blood; CKD-EPI, Chronic Kidney Disease Epidemiology Collaboration; eGFR,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cr, creatinine; cys, cystatin C; Scr, standardized serum creatinine; Scys, standardized serum cystatin C; CKiD, Chronic Kidney Disease in Children; MDRD,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5. 혈액검사의 LOINC 코드 매핑
혈액 분야 검사 중 다빈도 항목인 일반혈액검사(complete blood cell count, CBC), 백혈구백분율(differential count), 적혈구침강속도(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검사에 대해서 이 지침에서 권장하는 보고 단위와 LOINC 코드는 Table 4와 같다.
-
Table 4 Recommended units and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for hematology tests
Test items UCUM unit Recommended unit Recommended LOINC CBC WBC count 103/μL 103/μL 6690-2 RBC count 106/μL 106/μL 789-8 Hemoglobin g/dL g/dL 718-7 Hematocrit % % 4544-3 MCV fL fL 787-2 MCH pg pg 785-6 MCHC g/dL g/dL 786-4 Platelet count 103/μL 103/μL 777-3 WBC differential count Neutrophils (segmented) % % 26505-8; 26511-6 Lymphocytes % % 26478-8 Monocytes % % 26485-3 Eosinophils % % 26450-7 Basophils % % 30180-4 nRBC /100 WBCs /100 WBCs 19048-8 Variant lymphocytes % % 13046-8 Abnormal lymphocytes % % 30413-9 Plasma cells % % 13047-6 Promyelocytes % % 26524-9 Myelocytes % % 26498-6 Metamyelocytes % % 28541-1 Band form neutrophils % % 26508-2 Blasts % % 26446-5 ESR mm/h mm/h 30341-2 Abbreviations: UCUM, Unified Code for Units of Measure; LOINC,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CBC, complete blood count; WBC, white blood cells; RBC, red blood cells; MCV, mean corpuscular volume; 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C,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nRBC, nucleated red blood cells;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LOINC 지침[9]에서는 사용된 특정 방법이 결과 해석에 임상적으로 중요한 경우에만 방법을 지정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LOINC 홈페이지에서 ‘전체 혈구 수치의 99%가 자동화되므로 일반적으로 자동화계수 코드가 올바른 선택’이라고 안내하는 항목이 있고[12], 일반적으로 방법이 지정되지 않은 코드보다 자동화계수 코드가 더 빈번하게 사용되며, 일부 항목은 자동화계수 코드만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제조화 및 상호운용성 증진을위하여 CBC 검사에서는 자동화계수로 지정된 코드를 권장한다.통상 백혈구수, 적혈구수, 혈색소, 헤마토크리트, 평균적혈구용적,평균적혈구혈색소,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 혈소판수 등을 포함하는 CBC 패널 코드는 LOINC: 58410-2를 제안한다. CBC 패널과 백혈구백분율의 통합 코드는 기관의 백혈구백분율 검사방법의 분류에 따라 다음의 코드 선택을 제안한다; 지정하지 않음(LOINC: 69742-5), 자동화계수법(LOINC: 57782-5), 수기계수법(LOINC: 57021-8). CBC 개별항목은 모두 자동화계수법으로 검사방법이 지정된 LOINC 코드를 권장한다; 백혈구수(LOINC: 6690-2), 적혈구수(LOINC: 789-8), 혈색소(LOINC: 718-7), 헤마토크리트(LOINC: 4544-3), 평균적혈구용적(LOINC: 787-2), 평균적혈구혈색소(LOINC: 785-6),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LOINC: 786-4), 혈소판수(LOINC: 777-3).
백혈구백분율 검사는 기관의 검사 코드 운용 방식에 맞추어 자동화와 수기 백분율을 별도의 코드로 검사하는 기관은 각각 검사법을 지정하는 코드를, 자동화와 수기 백분율을 같은 검사코드로 보고하는 기관은 검사법을 지정하지 않은 코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검사법을 지정하지 않은 백혈구백분율 분획 코드는 다음과 같다; 분엽호중구(LOINC: 26505-8), 림프구(LOINC: 26478-8), 단구(LOINC: 26485-3), 호산구(LOINC: 26450-7), 호염기구(LOINC: 30180-4), 유핵적혈구(LOINC: 19048-8), 반응림프구(LOINC: 13046-8), 비정상 림프구(LOINC: 30413-9), 형질세포(LOINC: 13047-6), 전골수구(LOINC: 26524-9), 골수구(LOINC: 26498-6), 후골수구(LOINC: 28541-1), 띠호중구(LOINC: 26508-2), 모세포(LOINC: 26446-5). 분엽호중구의 경우 검사기관의 용어에 따라 호중구 코드인 LOINC: 26511-6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검사방법을 자동화계수법과 수기계수법으로 지정한 추천코드를 Table 5에 제시하였다.
-
Table 5 Recommended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for differential white blood cell count
Test items Test method specified in recommended LOINC code Methodless Automated count Manual count Neutrophils (segmented) 26505-8; 26511-6 32200-8; 770-8 769-0; 23761-0 Lymphocytes 26478-8 736-9 737-7 Monocytes 26485-3 5905-5 744-3 Eosinophils 26450-7 713-8 714-6 Basophils 30180-4 706-2 707-0 nRBC 19048-8 18309-5 58413-6 Variant lymphocytes 13046-8 N/A 735-1 Abnormal lymphocytes 30413-9 N/A 29261-5 Plasma cells 13047-6 N/A 79426-3 Promyelocytes 26524-9 N/A 783-1 Myelocytes 26498-6 N/A 749-2 Metamyelocytes 28541-1 N/A 740-1 Band form neutrophils 26508-2 N/A 764-1 Blasts 26446-5 N/A 709-6 Abbreviations: LOINC, 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nRBC, nucleated red blood cells; N/A, not available.
ESR 검사는 검사방법을 지정하지 않은 코드인 LOINC: 30341-2를 권장하며, 검사방법의 지정이 필요한 경우 Westergren법은 LOINC: 4537-7, Wintrobe법은 LOINC: 4538-5 코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의료데이터 간 상호운용성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면서 LOINC와 같은 용어 표준의 국내 도입이 시급하다. 하지만, 충분한 검토 없이 도입한 용어 표준은 상호운용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어서, 국내 도입에 앞서서 전문가들이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그 결과물로서 이 적용 지침을 도출하였다. 이 적용 지침은 국내 다빈도 일반 화학과 혈액 검사의 LOINC 매핑에 대해서 전문가들이 검토하고 의견을 모아 작성하였다. 이 지침이 국내 의료기관 간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고 환자 안전을 개선시키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본 적용 지침은 진단검사의학재단의 지원 및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의 국가보건의료표준화사업 결과물(과제번호: 20230812B70 -00)을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https://www.alio.go.kr/item/itemBoardB1260.do?disclosureNo=2023122802738910&apbaId=C1304&nowcode=B1260&reportFormNo=B1260&table_name=COMM_BOARD&idx_name=BOARD_NO&idx=3229590&reportGbn=N&bid_type=0], 대한진단검사의학회, 대한진단검사정도관리협회, 대한임상화학회, 대한진단혈액학회, 대한의료정보학회, 대한보건의료정보관리사협회의 검토 및 배서를 받았습니다. 이에 관련 단체에 감사드립니다. 또한, 자문에 참여해 주신 강미라(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 김지연(서울아산병원빅데이터 연구센터), 김하늬(고려의대 고대구로병원), 박형두(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오지선(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정보의학과), 이경훈(서울의대 분당서울대병원), 임정훈(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임종백(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채효진(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선생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자들은 본 연구와 관련하여 어떠한 이해관계도 없음을 밝힙니다.
- Yoon SY, Yoon JH, Min WK, Lim HS, Song J, Chae SL, et al.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in laboratory medicine I. Korean J Lab Med 2007;27:151-5.
- Jung BK, Kim J, Cho CH, Kim JY, Nam MH, Shin BK, et al. Report on the project for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ized Korean laboratory terminology database, 2015. J Korean Med Sci 2017;32:695-9.
- Lee JH. Standardization of Healthcare Terminology in Laboratory Fields: Updating International Standards (LOINC) and Developing Mapping Guidelines (보건의료용어표준 검사분야 국제표준(LOINC) 현행화 및 매핑 가이드 개발). Yongin: GC Labs, 2022.
- Standards for Terminology and Transmission of Healthcare Data (보건 의료데이터 용어 및 전송 표준. 보건복지부고시 제2023-174호). Act no. 2023-174, Sep. 15, 2023.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229436.
- Lin MC, Vreeman DJ, McDonald CJ, Huff SM. Correctness of voluntary LOINC mapping for laboratory tests in three large institutions. AMIA Annu Symp Proc 2010;2010:447-51.
- Health Insurance Review, Assessment Service. HIRA bigdata open portal. https://opendata.hira.or.kr/home.do (Last accessed on Jul 2024).
- Regenstrief Institute. LOINC: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identifying health measurements, observations, and documents. https://loinc.org/ (Update on Feb 2024).
- Baorto D, Baroni R, et al, eds. LOINC mapping guide: chemistry. Indianapolis: Regenstrief Institute, 2022.
- Baorto D, Baroni R, et al, eds. LOINC mapping guide: hematology and serology. Indianapolis: Regenstrief Institute, 2022.
- Royal College of Pathologists of Australasia. Previous versions - reference sets & information models. https://www.rcpa.edu.au/Library/Practising-Pathology/PTIS/Previous-versions (Last accessed on Jul 2024).
- Federal Institute for Drugs, Medical Devices. UCUM. https://www.bfarm.de/EN/Code-systems/Terminologies/LOINC-UCUM/UCUM/_node.html (Last accessed on Jul 2024).
- Regenstrief Institute. LOINC 787-2 MCV [entitic volume] by automated count. https://loinc.org/787-2/ (Last accessed on Jul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