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 Service
Brief Report
ClinGen Guideline을 이용한 LDLR 유전자의 재분석 - 미분류염기변이를 중심으로
Re-evaluation of the LDLR Gene Variants of Uncertain Significance Using ClinGen Guideline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and Genetics,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Correspondence to: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Lab Med Online 2022; 12(2): 116-121
Published April 1, 2022 https://doi.org/10.47429/lmo.2022.12.2.116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for Laboratory Medicine.
Abstract
Keywords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유병률이 약 1:250으로 알려진 흔한 유전 질환으로[1],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이 지속적으로 상승되어 있는 이상지질혈증이다. 이로 말미암아 죽상경화성 플라크가 관상동맥을 비롯한 여러 혈관에 축적되고 혈관이 좁아지면서 조기 심혈관계 질환 발병의 주요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2] 적절한 치료, 나아가 이른 진단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은 과소 진단 및 과소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3, 4].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의 대부분은
유전 분석에서 확인된 변이들은 미국의학유전학회(American College of Medical Genetics, ACMG)와 분자병리학회(Association for Molecular Pathology, AMP)에서 제시한 변이의 해석에 대한 종합적 권고지침(이하 ACMG/AMP 지침)에 따라 pathogenic variant (PV), likely pathogenic variant (LPV), variant of uncertain significance (VUS, 미분류염기변이), likely benign variant (LBV), benign variant (BV) 등의 다섯 범주 중 하나로 분류된다[9]. 그러나 ACMG/AMP 지침은 개별 유전자 또는 질환의 고유한 특징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질환별 전문가 집단(specific disease group)별로 해당 질환에 더욱 초점을 맞춘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9].
2013년 Clinical Genome Resource (ClinGen) 컨소시엄[10]이 설립된 이후, ClinGen 산하의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Variant Curation Expert Panel (FH-VCEP) 중 일부 구성원들이
한편, 앞서 기술한 ACMG/AMP 지침의 다섯 범주 중 VUS로 분류된 변이들의 경우에는 해석, 보고 여부, 결과 설명, 재분석 등의 관점에서 복잡성이 존재하는데[13],
이 연구는 본원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승인(승인번호: 2021-05-065)을 받아 진행하였다. 먼저, EDTA 용기에 얻어진 환자의 말초 혈액을 Wizard Genomic DNA Purification Kit (Promega, Madison, WI,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genomic DNA를 얻었다.
저자들은 2011년 1월부터 2021년 3월까지
-
Figure 1. Workflow of the
LDLR gene VUS variants re-evaluation. The workflow for the re-evaluation of theLDLR gene VUS variants involves three major analysis steps: 1) First, 94 different variants ofLDLR gene were identified from 251 patients suspected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and requestedLDLR sequence analysis between 2011 and 2021. A quality control phase (*) removed 28 of the identified variants. Those included variants outside the reportable range; exon variants and intron variants located within 25 bp of exon-intron boundaries. 2) Then, ACMG/AMP guideline was applied to classify the remaining 66 variants into pathogenic variant (PV), likely pathogenic variant (LPV), variant of uncertain significance (VUS), likely benign variant (LBV), and benign variant (BV). 3) Finally, VUS re-evaluation was performed following the ClinGen guideline.
Abbreviations: ACMG/AMP, American College of Medical Genetics/Association for Molecular Pathology; ClinGen, Clinical Genome Resource.
또한, 본원에서 LPV 또는 LBV로 보고한 변이들을 VUS와 마찬가지로 ClinGen 가이드라인에 따라 재분류하여 VUS로 변경되는 변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재분석 대상이었던 13종류의 VUS를 유형별로 보면, 과오 변이가 8종류(61.5%)였으며, 인트론 위치의 변이가 4종류(30.8%), 동의 변이가 1종류(7.7%)였다. 13종류의 변이들 중 HGMD에 기존 보고가 있었던 변이는 5종류(38.5%)였으며, Clinvar에 보고된 바 있는 변이는 10종류(76.9%)였고 그 중 3종류의 변이는 Clinvar에서 여러 보고자들 간의 변이 해석이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재분석 결과 13종류의 변이들 중 2종류(15.4%)의 변이가 LPV로 범주가 변경되었는데, c.268G>T (p.D90Y) 변이(PM2, PM5_Strong, PP3)와 c.694G>T (p.A232S) 변이(PS3_Supporting, PM1, PM2, PP3)가 이에 해당하였다. 나머지 11종류(84.6%)는 VUS로 유지되었고 재분류 결과 PV, LBV 또는 BV로 조정된 변이는 없었다(Table 1). 또한, 8종류의 LBV 중 c.344G>A (p.R115H) 1개 변이가 VUS로 재분류되었고(12.5%), 22종류의 LPV 중 c.1228A>G (p.Arg410Gly)와 c.1571_1573del (p.Val524del) 등 2개 변이가 VUS로 재분류되었다(9.1%) (Table 1).
-
Table 1 . Re-classification of VUS of the
LDLR geneExon Nucleotide substitution Amino acid substitution Clinvar ID ClinVar status ClinVar classification* Previous classification ClinGen guideline evidence Re-classification PopMax† KRGDB REVEL score MES score‡ 3 c.268G >T p.(Asp90Tyr) 251106 2-star LPV VUS PM5_Strong, PM2, PP3 LPV N/A N/A 0.958 N/A 4 c.694G>T p.(Ala232Ser) 689347 1-star VUS VUS PM1, PM2, PS3_Supporting§, PP3 LPV N/A N/A 0.373 0.177 5 c.769C >T p.(Arg257Trp) 251446 1-star LPV (3); VUS (6); PV (1) VUS PM5, BS3§ VUS 0.100% N/A 0.648 N/A 5 c.781T>A p.(Cys261Ser) N/A N/A N/A VUS PM1, PM2, PP3 VUS N/A N/A 0.963 N/A Intron 5 c.817+14A> G p.(?) 889873 1-star VUS VUS BP4 VUS 0.080% 0.117% N/A 1.000 Intron 5 c.818-15C>G p.(?) 919422 1-star LBV VUS None VUS 0.098% 0.117% N/A 0.970 6 c.939C >T p.(Cys313= ) N/A N/A N/A VUS None VUS 0.022% 0.029% N/A 0.853 8 c.1105G>A p.(Val369Met) 183107 1-star VUS VUS PM2 VUS 0.002% N/A 0.643 N/A Intron 9 c.1358+10G >A p.(?) 431526 1-star VUS VUS PM2, BP4 VUS 0.016% 0.088% N/A 1.000 Intron 10 c.1587-11C>T p.(?) 548078 star LBV (1); VUS (1) VUS PM2, BP4 VUS 0.010% 0.059% N/A 1.080 11 c.1640T >C p.(Leu547Pro) 251949 1-star VUS (1); LPV (2) VUS PM2, PS4_Supporting, PP3, PP4 VUS N/A N/A 0.883 N/A 12 c.1765G>A p.(Asp589Asn) 252022 star VUS VUS PM5, PS4_Supporting, BP4 VUS 0.110% N/A 0.325 N/A 15 c.2191G >A p.(Val731Ile) N/A N/A N/A VUS PM2, BP4 VUS N/A N/A 0.115 N/A 4 c.344G>A p.(Arg115His) 225402 star LBV (1); VUS (3); LPV (2); PV (1) LBV BS1, PM1 VUS 0.230% 0.466% 0.684 N/A 9 c.1228A >G p.(Arg410Gly) 430781 1-star LPV LPV PM2, PM5, PS4_Supporting VUS N/A N/A 0.699 N/A 10 c.1571_1573del p.(Val524del) 841257 star PV LPV PM2, PM4 VUS N/A N/A N/A N/A *When ClinVar classification had conflicting interpretations of pathogenicity, the number of interpretions was expressed in parenthesis (Last accessed on July 2021). †gnomAD subpopulation with the highest allele frequency; ‡Ratio of variant MES score/wild-type MES score; §Functional evidence of variants c.694G>T and c.769C>T are made according to Rodríguez-Jiménez
et al . [20] and Etxebarriaet al . [22], respectively.Abbreviations: VUS, variant of uncertain significance; LBV, likely benign variant; LPV, likely pathogenic variant; KRGDB, Korean Reference Genome Database; MES, MaxEntScan; PV, pathogenic variant; N/A, not applicable.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의 높은 유병률[1]과 유전적 원인[5]을 고려하면
특정 변이가 (L)PV나 (L)BV와 같은 변이로 분류되지 못하고 VUS로 보고하게 되는 요인으로는 가족 내 분리(segregation) 현상(PP1 부여), 표현형(PP4), 기능 연구(functional study, PS3) 등의 정보가 불충분하여 변이에 대한 근거를 부여하지 못하는 점이 제시된 바 있다[11, 17]. 본원에서 시행한
기존의 분류체계에서 VUS였다가 LPV로 재분류된 변이들의 경우, ACMG/AMP 지침의 근거에 PM1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었거나, PM5 대신 PM5_Strong을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이 두 근거를 분석해 보면, 변이가 발생한 코돈의 중요성을 FH-VCEP에서 ClinGen 가이드라인에 반영한 결과로 생각한다. 기존의 ACMG/AMP 지침에서는 PM1을 부여하는 기준에 대해 세부적으로 명시하지 않았으며, 본원에서는 영국의 Association for Clinical Geno-mic Science (ACGS)에서 제시한 ACGS 2020 가이드라인[19]에서 명시한
PM5_Strong을 부여하여 LPV로 재분류된 변이(c.268G>T, p.D90Y)의 경우, 해당 코돈이 HGMD에서 p.D90A, p.D90N, p.D90E, p.D90G와 같은 (L)PV로 보고된 바 있다. 이 변이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첫째, 해당 코돈에서 네 가지의 서로 다른 아미노산으로의 변화가 보고되었다는 것은 고보존되는(highly conserved) 중요 영역임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기존에는 이 변이에 PM5만 부여할 수 있었는데, ClinGen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이후에는 해당 코돈의 중요성에 대한 가중치가 반영되어 근거의 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둘째, 변이가 발생한 코돈이 ClinGen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엑손 4의 과오 변이 또는 cysteine의 과오 변이가 아니라 할지라도, 그 위치가 중요한 부위라면 병인성 변이를 시사하는 근거(본 변이의 경우 PM5_Strong)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면서도 ClinGen 가이드라인에서는 PS1 또는 PM5와 PM1을 동시에 부여하지 못하게 규정함으로써 중복 계산을 방지하였고 변이 해석의 정확성을 높였다. 일례로 본원에서 LPV로 보고한 c.361T>G (p.C121G)의 경우, 엑손 4에 위치한 cysteine의 과오 변이였지만, PM1과 PM5_Strong (p.C121R, p.C121F, p.C121S, p.C121Y이 보고된 바 있음)을 동시에 부여하지 않아 기존의 분류가 유지되었다.
한편, VUS에서 LPV로 재분류된 또다른 변이인 c.694G>T (p.A232S)의 경우, ClinGen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기능 연구의 변이 부여 기준이 구체화되고 PS3, PS3_Moderate, PS3_Supporting과 같이 세분화된 점을 적용하였다. Rodríguez-Jiménez 등[20]의 연구에 따르면 본 변이는 LDL 흡수(uptake)와 LDL 결합(binding)에 대한 활성도가 야생형(wild type)과 비교했을 때 각각 73%와 79%로, ClinGen 가이드라인의 PS3_Supporting 부여 기준인 85% 미만을 충족하였다.
요약하면, ClinGen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VUS 변이를 재분석한 결과 기존의 ACMG/AMP 지침[9]의 분류체계에서는 LPV로 생각되었으나 근거가 부족했던 과오 변이들을 적절히 재분류할 수 있었다.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률과
저자들은 본 연구와 관련하여 어떠한 이해관계도 없음을 밝힙니다.
References
- Akioyamen LE, Genest J, Shan SD, Reel RL, Albaum JM, Chu A, et al.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heterozygous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Open 2017;7:e016461.
- Rhee EJ, Kim HC, Kim JH, Lee EY, Kim BJ, Kim EM, et al. 2018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emia. Korean J Intern Med 2019;34:723-71.
- Nordestgaard BG, Chapman MJ, Humphries SE, Ginsberg HN, Masana L, Descamps OS, et al.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is underdiagnosed and undertreated in the general population: guidance for clinicians to prevent coronary heart disease: consensus statement of the European Atherosclerosis Society. Eur Heart J 2013;34:3478-90.
- Nordestgaard BG, Benn M. Genetic testing for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is essential in individuals with high LDL cholesterol: who does it in the world? Eur Heart J 2017;38:1580-3.
- Soutar AK, Naoumova RP. Mechanisms of disease: genetic causes of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Nat Clin Pract Cardiovasc Med 2007;4:214-25.
- Defesche JC, Lansberg PJ, Umans-Eckenhausen MA, Kastelein JJ. Advanced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patients with inherited hypercholesterolemia. Semin Vasc Med 2004;4:59-65.
- Risk of fatal coronary heart disease in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Scientific Steering Committee on behalf of the Simon Broome Register Group. BMJ 1991;303:893-6.
- Dedoussis GV, Schmidt H, Genschel J. LDL-receptor mutations in Europe. Hum Mutat 2004;24:443-59.
- Richards S, Aziz N, Bale S, Bick D, Das S, Gastier-Foster J, et al.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the interpretation of sequence variants: a joint consensus recommendation of the American College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and the Association for Molecular Pathology. Genet Med 2015;17:405-24.
- Rehm HL, Berg JS, Brooks LD, Bustamante CD, Evans JP, Landrum MJ, et al. ClinGen--the Clinical Genome Resource. N Engl J Med 2015;372:2235-42.
- Chora JR, Medeiros AM, Alves AC, Bourbon M. Analysis of publicly available
LDLR ,APOB , andPCSK9 variants associated with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application of ACMG guidelines and implications for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diagnosis. Genet Med 2018;20:591-8. - Clinical Genome Resource. ClinGen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Expert Panel Specifications to the ACMG/AMP Variant Interpretation Guidelines Version 1. https://clinicalgenome.org/site/assets/files/6301/clingen_fh_acmg_specifications_v1_1-1.pdf (Updated on Apr 2021).
- Vears DF, Niemiec E, Howard HC, Borry P. Analysis of VUS reporting, variant reinterpretation and recontact policies in clinical genomic sequencing consent forms. Eur J Hum Genet 2018;26:1743-51.
- den Dunnen JT, Dalgleish R, Maglott DR, Hart RK, Greenblatt MS, McGowan-Jordan J, et al. HGVS Recommendations for the Description of Sequence Variants: 2016 Update. Hum Mutat 2016;37:564-9.
- Ioannidis NM, Rothstein JH, Pejaver V, Middha S, McDonnell SK, Baheti S, et al. REVEL: An Ensemble Method for Predicting the Pathogenicity of Rare Missense Variants. Am J Hum Genet 2016;99:877-85.
- Yeo G, Burge CB.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hort sequence motifs with applications to RNA splicing signals. J Comput Biol 2004;11:377-94.
- Iacocca MA, Chora JR, Carrié A, Freiberger T, Leigh SE, Defesche JC, et al. ClinVar database of global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associated DNA variants. Hum Mutat 2018;39:1631-40.
- Deignan JL, Chung WK, Kearney HM, Monaghan KG, Rehder CW, Chao EC. Points to consider in the reevaluation and reanalysis of genomic test results: a statement of the American College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ACMG). Genet Med 2019;21:1267-70.
- Association for Clinical Genomic Science. ACGS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Variant Classification in Rare Disease 2020. , 2020. https://www.acgs.uk.com/media/11631/uk-practice-guidelines-for-variant-classification-v4-01-2020.pdf (Updated on Feb 2020).
- Rodríguez-Jiménez C, Pernía O, Mostaza J, Rodríguez-Antolín C, de Dios García-Díaz J, Alonso-Cerezo C, et al. Functional analysis of new variants at the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associated with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Hum Mutat 2019;40:1181-90.
- Huang CC, Charng MJ. Genetic diagnosis of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in Asia. Front Genet 2020;11:833.
- Etxebarria A, Benito-Vicente A, Stef M, Ostolaza H, Palacios L, Martin C. Activity-associated effect of LDL receptor missense variants located in the cysteine-rich repeats. Atherosclerosis 2015;238: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