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 Service
Original Article
골수이형성증후군과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진단 및 재분류: 2016년 WHO 4판 분류법과 2022년 WHO 5판/ICC 분류법의 비교
Diagnosis and Reclassification of Myelodysplastic Syndromes and Acute Myeloid Leukemia: Comparison Between the 2016 WHO 4th and 2022 WHO 5th/ICC Classifications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Hospital, Ulsan, Korea
Correspondence to: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Lab Med Online 2024; 14(3): 208-217
Published July 1, 2024 https://doi.org/10.47429/lmo.2024.14.3.20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for Laboratory Medicine.
방법: 2019년 4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울산대학교병원에서 WHO 4판 분류법에 따라 MDS, AML로 진단받은 환자 2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WHO 5판, ICC 분류법을 적용하여 환자의 진단을 재분류한 후 그 차이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WHO 4판 분류법에 의해 MDS로 진단된 96명의 환자 중 5명(5.2%)의 환자가 WHO 5판 또는 ICC 분류법에 의해 AML로 재분류되었고, 이들은 동반된 세포 및 분자유전학적 이상 소견으로 인해 WHO 5판 분류법에서는 모두 AML로 진단이 변경되었으며, ICC 분류법에서는 2명의 MDS with EB-2 환자만 AML로 진단이 변경되었다. WHO 4판 분류법을 적용하였을 때 MDS로 진단된 환자 중 28.6%, 17.0%의 환자가 각각 WHO 5판 분류법, ICC 분류법을 적용하였을 때 MDS 진단의 세부 분류가 변경되었으며, 대부분 개정된 분류법에서 MDS 진단의 세부 분류에 SF3B1, biallelic TP53 mutation 등의 분자유전학적 검사 결과가 추가되어 발생하였고, 일부 환자는 WHO 5판 분류법에서 MDS-h, MDS-f 등 형태학적 소견이 진단에 추가되어서 발생하였다.
결론: MDS 및 AML의 진단에 WHO 5판 및 ICC 분류법을 적용할 때, 골수생검조직의 형태학적 소견, 세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의 TAT 단축이 진단 정확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Methods: From April 2019 to June 2023, 246 MDS and AML patients diagnosed by the WHO 4th classification at the Ulsan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se patients were reclassified by the WHO 5th and ICC classification, and the differences were retrospectively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Among 96 MDS patients diagnosed by the WHO 4th classification, 5 (5.2%) were reclassified to AML using the WHO 5th or ICC due to concomitant cytogenetic and molecular abnormalities. Only 2 patients initially diagnosed with MDS with excess blasts-2 (MDS-EB-2) were later diagnosed with AML by ICC classification. When the WHO 5th and ICC classifications were applied, 28.6% and 17.0%, respectively, of MDS patients diagnosed by the WHO 4th classification changed MDS subtypes, mostly due to the presence of molecular abnormalities such as SF3B1 and biallelic TP53 mutation at diagnosis. The MDS subtypes of certain patients also changed when the WHO 5th classification were applied due to the addition of the MDS-hypoplastic and MDS-fibrosis categories.
Conclusions: When applying the WHO 5th and ICC classifications for the diagnosis of MDS and AML, morphologic findings of bone marrow biopsy and reduction of turnaround time in cytogenetic and molecular genetic tests would be crucial in improving diagnostic accuracy.
Keywords
골수형성이상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 MDS)은 골수 내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적 조혈작용을 특징으로 하는 악성 혈액종양으로, 말초혈액(peripheral blood, PB) 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중 하나 이상의 세포에서 관찰되는 혈구감소증(2016년 WHO 4판 분류법: 헤모글로빈 <10 g/dL, 절대 호중구 수[absolute neutrophil counts, ANC] <1.8×109/L, 혈소판 수 <100×109/L)을 보이면서, 골수(bone marrow, BM)에서 관찰되는 형성이상이 3 종류의 조혈세포 계통(과립구계, 적혈구계, 거핵구계) 중 하나 이상에서 각 세포 계열의 10% 이상에서 관찰되는 경우로 정의된다[1].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아 PB 또는 BM 내 모세포의 분율이 증가하게 되면 MDS 환자는 급성골수성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으로 진행하게 되고, AML의 경우 강력한 유도화학요법을 기초로 한 항암제 투여를 치료의 근간으로 삼고 있어 치료의 방향이 세포분화를 유도하는 약제의 투여를 근간으로 하는 MDS와 달라지게 된다[2-4]. 따라서, MDS와 AML의 정확한 진단은 환자의 예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2022년 AML, MDS의 새로운 분류법을 포함한 혈액종양 전체에 걸친 새로이 개정된 WHO 5판 및 International Consensus Classification (ICC) 재분류법을 소개하는 문헌이 출판되었다[5, 6]. 이들 분류법들은 PB 내 혈구감소증의 정의를 변경하여(헤모글로빈 <13 g/dL [남] /<12 g/dL [여], ANC <1.8×109/L, 혈소판 수 <150×109/L) 좀 더 폭넓은 혈구감소증의 범위가 MDS 진단이 가능하게끔 하였고, MDS, AML 환자에서 발생하는 조직학적 및 유전학적 이상에 대해 이전 분류법보다 더욱 강조하여 진단에 적용하였다[7].
현재까지, 중국에서 진단된 MDS 환자에 대해 WHO 4판 및 WHO 5판 분류법에 따른 진단의 재분류 결과에 대해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고[8], 독일에서 진단된 MDS, AML 환자에 대해 WHO 4판 분류법에 따른 진단명과 WHO 5판 및 ICC 분류법에 따른 진단명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9]. 다만, 위의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긴 연구기간 또는 다기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제한점이 존재한다. 최근 국내 한 기관에서 47명의 MDS with excess blasts (MDS-EB), AML 환자를 대상으로 한 WHO 4판과 WHO 5판 및 ICC 분류법을 적용하였을 때의 진단명의 재분류에 대해 비교, 분석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지만, 환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MDS 환자의 일부 소그룹만 분석에 포함시켰다는 제한점이 존재한다[10]. 이외에도 국내 다기관에서 3,376명의 MDS, AML 환자를 대상으로 한 WHO 4판과 WHO 5판 및 ICC 분류법을 적용하였을 때의 진단명의 재분류를 분석한 논문이 있는데, TP53 mutation 여부에 따른 진단명의 재분류에 초점을 맞췄다는 제한점이 존재한다[11].
앞선 연구들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 수와 단기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등 진단의 통일성이 요구되는 바, 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울산대학교병원 단일기관에서 최근 약 4년간 진단받은 총 407명의 MDS, AML 환자를 대상으로 진단 시에 이루어졌던 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분자유전학적 분석 또는 핵형분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재분류가 어려웠던 161명의 환자를 제외한 총 2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WHO 4판과 개정된 WHO 5판, ICC 분류법을 적용하여 환자의 진단을 재분류하여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1. 환자 수집, 골수검사 및 환자 자료 획득
2019년 4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울산대학교병원에서 골수검사를 시행받고 WHO 4판 분류법에 따라 MDS나 AML로 진단받은 환자 407명 중 처음 진단 당시 세포유전학적 검사나 차세대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검사가 충분히 시행되지 않은 161명을 제외한 총 246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최종 포함되었다. 모든 환자는 진단 시점에 BM 흡인 및 생검을 실시받았으며, 각 환자로부터 말초혈액 EDTA 튜브 1개, 골수천자액의 형태학적 검경을 위한 슬라이드 제작용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용 BM 흡인 EDTA 튜브 2개, 세포유전학 검사를 위한 헤파린 튜브 1개, 중성 완충 포르말린을 넣은 일반 튜브에 보관한 BM 생검 조직을 얻었다. 환자의 임상 및 검사 자료는 전자의무기록의 후향적 검토를 통해 얻었다. 본 연구는 울산대학교병원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승인번호: 2023-11-029)의 승인을 받았으며, 헬싱키 선언 원칙에 따라 수행되었다.
2. 골수 슬라이드의 형태학적 검경
각 환자에서 시행된 골수검사의 형태학적 검경을 위해 PB 도말 슬라이드(Wright-Giemsa stain, W-G), BM 흡인 슬라이드(W-G), BM 생검 슬라이드(Hematoxylin & Eosin stain, H&E), Reticulin 염색 슬라이드(Reticulin stain)를 제작하였고, 진단혈액학 분야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진단혈액학 전문의 1인이 형태학적 검경을 시행하였다.
3. 핵형분석
각 환자에서 시행된 핵형분석을 위해서 헤파린 튜브에 골수천자액 검체를 채취하였고, 배양 개시 및 채취는 모두 표준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선별 목적으로 G-분염법을 모든 환자의 검체에 대해 시행한 후, Metafer™ image analysis system (MetaSystems, Althlussheim, Germany)을 사용하여 상세한 핵형분석을 시행하였다. 가능한 경우 20개의 유사 분열 세포를 분석하였고, 분석 가능한 세포가 20개보다 적을 경우에는 가능한 모든 유사 분열 세포를 분석에 포함하되, 최소 2개의 유사 분열 세포가 분석에 포함되도록 하였다. 핵형분석 결과는 International System for Human Cytogenetic Nomenclature 2020 (ISCN 2020) 명명법에 따라 기술하였으며, 분석에 포함된 2019년도 검사 결과는 모두 ISCN 2020 명명법을 적용하여 기술하였다[12].
4.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을 포함한 분자유적학적 검사
본 연구에 포함된 모든 환자에 대해 진단 시 골수 검체로, HemaVision (DNA Diagnostic, Risskov, Denmark) kit를 이용하여 혈액종양 환자에서 흔히 검출되는 28가지의 염색체 전좌 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 PCR 검사를 시행하였다. 추가적으로 염색체 전좌 이외의 돌연변이 등을 검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 포함된 모든 환자에 대해 진단 시 골수 검체를 사용하여 NGS panel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panel은 Oncomine™ Myeloid Research Assay-Chef ready kit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이며, 45개의 유전자에 대해 돌연변이 유무를 확인하였다. NGS 분석을 위해, 골수검사에서 얻은 EDTA tube에 채취된 골수천자 흡인 검체를 이용하였다. 골수천자 흡인 검체에서 DNA와 RNA를 추출하고, RNA에서 cDNA를 합성해 Ion Chef™ system (Thermo Fisher Scientific)을 사용하여 라이브러리를 만든 후 Ion S5 XL System (Thermo Fisher Scientific)을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얻었다. 얻어진 염기서열과 reference sequence 간의 alignment와 base calling은 Torrent Suite (v5.18)를 사용했으며 variant calling은 Ion Reporter (v5.18)를 사용해 수행되었다. 얻어진 염기서열은 reference genome GrCH37 (hg19)에 비교하여 이상 여부를 판정하였다.
5. WHO 4판 분류법에 의해 MDS 및 AML로 진단받은 2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개정된 WHO 5판 및 ICC 분류법에 의한 진단 재분류
본 연구에 최종 포함된 WHO 4판 분류법에 의해 MDS, AML로 진단된 2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얻어진 환자의 임상 및 검사 결과를 참고하여 개정된 WHO 5판 및 ICC 분류법에 의해 환자의 진단 재분류를 시행하였다. 이전에 MDS와 AML의 진단에 적용하였던 WHO 4판 분류법과 개정된 WHO 5판, ICC 분류법에 대해 Table 1에 정리하였다.
-
Table 1 . The 2016 WHO 4th, 2022 WHO 5th and ICC classification of MDS and AML
2016 WHO 4th 2022 WHO 5th ICC MDS with isolated del(5q) [MDS-del(5q)] MDS with low blasts and isolated 5q deletion (MDS-5q) MDS with del(5q) [MDS-del(5q)] MDS with ring sideroblasts and single lineage dysplasia (MDS-RS-SLD) MDS with low blasts and SF3B1 mutation (MDS-SF3B1) MDS with mutated SF3B1 (MDS-SF3B1) MDS with ring sideroblasts and multilineage dysplasia (MDS-RS-MLD) NA MDs with biallelic TP53 inactivation (MDS-biTP53) MDS with mutated TP53 MDS with single lineage dysplasia (MDS-SLD) MDS with low blasts (MDS-LB) MDS, NOS MDS with multilineage dysplasia (MDS-MLD) MDS, NOS without dysplasia MDS, NOS with single lineage dysplasia MDS, NOS with multilineage dysplasia NA MDS, hypoplastic (MDS-h) NA MDS with excess blasts-1 (MDS-EB-1) MDS with increased blasts (MDS-IB1) MDS with excess blasts (MDS-EB) MDS with excess blasts-2 (MDS-EB-2) MDS with increased blasts (MDS-IB2) MDS/AML MDS/AML with mutated TP53 MDS/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gene mutations MDS/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cytogenetic abnormalities MDS/AML, not otherwise specified (NOS) NA MDS with fibrosis (MDS-f) NA MDS, unclassifiable (MDS-U) NA NA APL with t(15;17)(q24.1;q21.2)/PML::RARA APL with PML::RARA fusion APL with t(15;17)(q24.1;q21.2)/PML::RARA NA NA APL with other RARA rearrangements AML with t(8;21)(q22;q22.1)/RUNX1::RUNX1T1 AML with RUNX1::RUNX1T1 fusion AML with t(8;21)(q22;q22.1)/RUNX1::RUNX1T1 AML with inv(16)(p13.1q22) or t(16;16)(p13.1q22)/CBFB::MYH11 AML with CBFB::MYH11 fusion AML with inv(16)(p13.1;q22) or t(16;16)(p13.1;q22)/CBFB::MYH11 AML with t(6;9)(p23;q34.1)/DEK::NUP214 AML with DEK::NUP214 fusion AML with t (6;9)(p22.3;q34.1)/DEK::NUP214 AML with t(9;11)(p21.3;q23.3)/MLLT3::KMT2A AML with KMT2A rearrangement AML with t(9;11) (p21.3;q23.3)/MLLT3::KMT2A NA AML with KMT2A rearrangement AML with other KMT2A rearrangements AML with inv(3)(q21.3q26.2) or t(3;3)(q21.3;q26.2)/GATA2::MECOM (EVI1) AML with MECOM rearrangements AML with inv(3)(q21.3q;26.2) or t(3;3)(q21.3;q26.2)/GATA2::MECOM (EVI1) NA AML with MECOM rearrangements AML with other MECOM rearrangements AML with t(1;22)(p13.3;q13.1); RBM15::MKL1 AML with RBM15::MRTFA fusion AML with other rare recurring translocations NA AML with other defined genetic alterations AML with other rare recurring translocations AML with t(9;22)(q34.1;q11.2)/BCR::ABL1 AML with BCR::ABL1 fusion AML with t(9;22) (q34.1;q11.2)/BCR::ABL1 AML with mutated NPM1 AML with NPM1 mutation AML with mutated NPM1 AML with biallelic mutation of CEBPA AML with CEBPA mutation AML with in-frame bZIP CEBPA mutations NA NA AML with mutated TP53 AML with mutated RUNX1 NA 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gene mutations 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changes (MRC) AML, myelodysplasia-related 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cytogenetic abnormalities AML, not otherwise specified (NOS) AML, defined by differentiation AML not otherwise specified (NOS) Abbreviations: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ICC, International Consensus Classification; MDS, myelodysplastic syndromes (neoplasms); NA, not applicable; del, deletion; SLD, single lineage dysplasia; MLD, multilineage dysplasia; EB, excess blasts; IB, increased blasts; h, hypoplastic; NOS, not otherwise specified; f, fibrosis; U, unclassifiable; AML, acute myeloid leukemia; bZIP, basic leucine zipper; APL,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1. WHO 4판, WHO 5판 및 ICC 분류법에 의해 정의된 MDS 환자 수
본 연구에서 WHO 4판 분류법에서 MDS로 진단되었던 환자는 총 96명이었다. 이들 환자를 대상으로 개정된 WHO 5판 및 ICC 분류법을 적용하여 환자의 진단 재분류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Table 2에 정리하였다. WHO 4판 분류법에서 MDS로 진단된 환자 96명 중, MDS with excess blasts-1 (MDS-EB-1)으로 진단된 환자가 28 (29.2%)명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고, MDS with multilineage dysplasia (MDS with MLD), MDS-EB-2, MDS with single lineage dysplasia (MDS with SLD), MDS, unclassifiable (MDS-U), MDS with ring sideroblasts and SLD (MDS-RS-SLD), MDS with ring sideroblasts and MLD (MDS-RS-MLD), MDS with isolated del(5q)로 진단된 환자가 각각 23 (24.0%), 15 (15.6%), 15 (15.6%), 9 (9.4%), 3 (3.1%), 2 (2.1%), 1 (1.0%)명을 차지하였다.
-
Table 2 . Number of MDS patient subtypes defined in the 2016 WHO 4th, 2022 WHO 5th, and ICC classifications
2016 WHO 4th N of patients (%) 2022 WHO 5th N of patients (%) ICC N of patients (%) MDS with isolated del(5q) [MDS-del(5q)] 1 (1.0) MDS with low blasts and isolated 5q deletion (MDS-5q) 1 (1.1) MDS with del(5q) (MDS-del(5q)) 1 (1.1) MDS with ring sideroblasts and single lineage dysplasia (MDS-RS-SLD) 3 (3.1) MDS with low blasts and SF3B1 mutation (MDS-SF3B1) 7 (7.8) MDS with mutated SF3B1 (MDS-SF3B1) 7 (7.4) MDS with ring sideroblasts and multilineage dysplasia (MDS-RS-MLD) 2 (2.1) NA MDS with biallelic TP53 inactivation (MDS-biTP53) 7 (7.8) MDS with mutated TP53 5 (5.3) MDS with single lineage dysplasia (MDS-SLD) 15 (15.6) MDS with low blasts (MDS-LB) 32 (35.6) MDS, NOS MDS with multilineage dysplasia (MDS-MLD) 23 (24.0) MDS, NOS without dysplasia 0 (0.0) MDS, NOS with single lineage dysplasia 23 (24.5) MDS, NOS with multilineage dysplasia 21 (22.3) NA MDS, hypoplastic (MDS-h) 13 (14.4) NA MDS with excess blasts-1 (MDS-EB-1) 28 (29.2) MDS with increased blasts (MDS-IB1) 19 (21.1) MDS with excess blasts (MDS-EB) 25 (26.6) MDS with excess blasts-2 (MDS-EB-2) 15 (15.6) MDS with increased blasts (MDS-IB2) 11 (12.1) MDS/AML MDS/AML with mutated TP53 2 (2.1) MDS/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gene mutations 6 (6.4) MDS/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cytogenetic abnormalities 2 (2.1) MDS/AML, not otherwise specified (NOS) 2 (2.1) NA MDS with fibrosis (MDS-f) 1 (1.1) NA MDS, unclassifiable (MDS-U) 9 (9.4) NA NA Total N of patients 96 91* 94† *5 patients defined as MDS in the 2016 WHO 4th classification reclassified as AML in the 2022 WHO 5th classification; †2 patients defined as MDS in the 2016 WHO 4th classification reclassified as AML in the ICC classification.
Abbreviations: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ICC, International Consensus Classification; MDS, myelodysplastic syndromes (neoplasms); NA, not applicable; del, deletion; SLD, single lineage dysplasia; MLD, multilineage dysplasia; EB, excess blasts; IB, increased blasts; h, hypoplastic; NOS, not otherwise specified; f, fibrosis; U, unclassifiable; N, number.
WHO 5판 분류법에서 MDS로 진단된 환자 91명 중, MDS with low blasts (MDS-LB)로 진단된 환자가 32 (35.6%)명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고, MDS with increased blasts (MDS-IB1), MDS, hypoplastic (MDS-h), MDS with increased blasts (MDS-IB2), MDS with biallelic TP53 inactivation (MDS-biTP53), MDS with low blasts and SF3B1 mutation (MDS-SF3B1), MDS with low blasts and isolated 5q deletion (MDS-5q), MDS with fibrosis (MDS-f)로 진단된 환자가 각각 19 (21.1%), 13 (14.4%), 11 (12.1%), 7 (7.8%), 7 (7.8%), 1 (1.1%), 1 (1.1%)명을 차지하였다.
ICC 분류법에서 MDS로 진단된 환자 94명 중, MDS with excess blasts (MDS-EB)로 진단된 환자가 25 (26.6%)명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고, MDS, not otherwise specified (NOS) with single lineage dysplasia, MDS, NOS with multilineage dysplasia, MDS with mutated SF3B1 (MDS-SF3B1), MDS/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genes, MDS with mutated TP53, MDS/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cytogenetic abnormalities, MDS/AML, not otherwise specified (NOS), MDS/AML with mutated TP53, MDS with del(5q)로 진단된 환자가 각각 23 (24.5%), 21 (22.3%), 7 (7.4%), 6 (6.4%), 5 (5.3%), 2 (2.1%), 2 (2.1%), 2 (2.1%), 1 (1.1%)명을 차지하였다.
2. WHO 4판, WHO 5판 및 ICC 분류법에 의해 정의된 AML 환자 수
WHO 4판 분류법에서 AML로 진단되었던 환자는 총 150명이었다. 이들 환자를 대상으로 개정된 WHO 5판 및 ICC 분류법을 적용하여 환자의 진단 재분류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Table 3에 정리하였다. WHO 4판 분류법에서 MDS로 진단되었던 환자 중 5명과 2명이 각각 WHO 5판 분류법과 ICC 분류법에서 AML로 진단이 재분류되어, 이 결과를 Table 2와 Table 3의 각주에 기술하였다.
-
Table 3 . Number of AML patient subtypes defined in the 2016 WHO 4th, 2022 WHO 5th, and ICC classifications
2016 WHO 4th N of patients (%) 2022 WHO 5th N of patients (%) ICC N of patients (%) APL with t(15;17)(q24.1;q21.2)/PML::RARA 22 (14.7) APL with PML::RARA fusion 22 (14.2) APL with t(15;17)(q24.1;q21.2)/PML::RARA 22 (14.5) NA NA APL with other RARA rearrangements 0 (0.0) AML with t(8;21)(q22;q22.1)/RUNX1::RUNX1T1 8 (5.3) AML with RUNX1::RUNX1T1 fusion 8 (5.2) AML with t(8;21)(q22;q22.1)/RUNX1::RUNX1T1 8 (5.3) AML with inv(16)(p13.1q22) or t(16;16)(p13.1q22)/CBFB::MYH11 10 (6.7) AML with CBFB::MYH11 fusion 10 (6.5) AML with inv(16)(p13.1;q22) or t(16;16)(p13.1;q22)/CBFB::MYH11 10 (6.6) AML with t(6;9)(p23;q34.1)/DEK::NUP214 0 (0.0) AML with DEK::NUP214 fusion 0 (0.0) AML with t (6;9)(p22.3;q34.1)/DEK::NUP214 0 (0.0) AML with t(9;11)(p21.3;q23.3)/MLLT3::KMT2A 4 (2.7) AML with KMT2A rearrangement 6 (3.9) AML with t(9;11) (p21.3;q23.3)/MLLT3::KMT2A 4 (2.6) NA AML with other KMT2A rearrangements 3 (2.0) AML with inv(3)(q21.3q26.2) or t(3;3)(q21.3;q26.2)/GATA2::MECOM(EVI1) 0 (0.0) AML with MECOM rearrangements 2 (1.3) AML with inv(3)(q21.3q;26.2) or t(3;3)(q21.3;q26.2)/GATA2::MECOM (EVI1) 1 (0.7) NA AML with other MECOM rearrangements 0 (0.0) AML with t(1;22)(p13.3;q13.1); RBM15::MKL1 0 (0.0) AML with RBM15::MRTFA fusion 0 (0.0) AML with other rare recurring translocations 3 (2.0) NA AML with other defined genetic alterations 3 (1.9) AML with t(9;22)(q34.1;q11.2)/BCR::ABL1 1 (0.7) AML with BCR::ABL1 fusion 1 (0.6) AML with t(9;22) (q34.1;q11.2)/BCR::ABL1 1 (0.7) AML with mutated NPM1 19 (12.7) AML with NPM1 mutation 21 (13.5) AML with mutated NPM1 19 (12.5) AML with biallelic mutation of CEBPA 4 (2.7) AML with CEBPA mutation 7 (4.5) AML with in-frame bZIP CEBPA mutations 3 (2.0) NA NA AML with mutated TP53 12 (7.9) AML with mutated RUNX1 11 (7.3) NA 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gene mutations 36 (23.7) 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changes (MRC) 33 (22.0) AML, myelodysplasia-related 50 (32.3) 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cytogenetic abnormalities 9 (5.9) AML, not otherwise specified (NOS) 38 (25.3) AML, defined by differentiation 25 (16.1) AML not otherwise specified (NOS) 21 (13.8) Total N of patients 150 155* 152† *5 patients defined as MDS in the 2016 WHO 4th classification reclassified as AML in the 2022 WHO 5th classification; †2 patients defined as MDS in the 2016 WHO 4th classification reclassified as AML in the ICC classification.
Abbreviations: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ICC, International Consensus Classification; AML, acute myeloid leukemia; bZIP, basic leucine zipper; NA, not applicable; APL,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NOS, not otherwise specified.
WHO 4판 분류법에서 AML로 진단된 환자 150명 중, AML, NOS로 진단된 환자가 38 (25.3%)명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고, 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changes (MRC), APL with t(15;17)(q24.1;q21.2)/PML::RARA, AML with mutated NPM1, AML with mutated RUNX1, AML with inv(16)(p13.1q22) or t(16;16)(p13.1q22)/CBFB::MYH11, AML with t(8;21)(q22;q22.1)/RUNX1::RUNX1T1, AML with t(9;11)(p21.3;q23.3)/MLLT3::KMT2A, AML with biallelic mutation of CEBPA, AML with t(9;22)(q34.1;q11.2)/BCR::ABL1으로 진단된 환자가 각각 33 (22.0%), 22 (14.7%), 19 (12.7%), 11 (7.3%), 10 (6.7%), 8 (5.3%), 4 (2.7%), 4 (2.7%), 1 (0.7%)명을 차지하였다.
WHO 5판 분류법에서 AML로 진단된 환자 155명 중, AML, myelodysplasia-related로 진단된 환자가 50 (32.3%)명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고, AML, defined by differentiation, APL with PML::RARA fusion, AML with NPM1 mutation, AML with CBFB::MYH11 fusion, AML with RUNX1::RUNX1T1 fusion, AML with CEBPA mutation, AML with KMT2A rearrangement, AML with other defined genetic alterations, AML with MECOM rearrangements, AML with BCR::ABL1 fusion으로 진단된 환자가 각각 25 (16.1%), 22 (14.2%), 21 (13.5%), 10 (6.5%), 8 (5.2%), 7 (4.5%), 6 (3.9%), 3 (1.9%), 2 (1.3%), 1 (0.6%)명을 차지하였다.
ICC 분류법에서 AML로 진단된 환자 152명 중, 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gene mutations로 진단된 환자가 36 (23.7%)명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고, APL with t(15;17)(q24.1;q21.2)/PML::RARA, AML not otherwise specified, AML with mutated NPM1, AML with mutated TP53, AML with inv(16)(p13.1q22) or t(16;16)(p13.1q22)/CBFB::MYH11, 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cytogenetic abnormalities, AML with t(8;21)(q22;q22.1)/RUNX1::RUNX1T1, AML with t(9;11)(p21.3;q23.3)/MLLT3::KMT2A, AML with other KMT2A rearrangements, AML with other rare recurring translocations, AML with in-frame bZIP CEBPA mutations, AML with inv(3)(q21.3q;26.2) or t(3;3)(q21.3;q26.2)/GATA2::MECOM (EVI1), AML with t(9;22)(q34.1;q11.2)/BCR::ABL1으로 진단된 환자가 각각 22 (14.5%), 21 (13.8%), 19 (12.5%), 12 (7.9%), 10 (6.6%), 9 (5.9%), 8 (5.3%), 4 (2.6%), 3 (2.0%), 3 (2.0%), 3 (2.0%), 1 (0.7%)명을 차지하였다.
3. WHO 4판 분류법에서 MDS로 진단되었으나 WHO 5판 또는 ICC 분류법에서 AML로 진단이 변경된 5명의 환자
WHO 4판 분류법에서는 MDS로 진단되었으나, 개정된 WHO 5판 또는 ICC 분류법에서 AML로 진단이 변경된 5명의 환자에 대해 환자의 나이, 성별, 진단 시 PB 및 BM 내 모세포 분율, 핵형분석 결과, NGS에서 검출된 유전자 돌연변이 결과 등을 포함한 환자의 임상 및 검사 결과를 Table 4에 기술하였다.
-
Table 4 . Data summary of the five patients with a diagnosis change from MDS using the 2016 WHO 4th classification to AML using the 2022 WHO 5th or ICC classifications
Case No. Sex Age Diagnosis PB blast, % BM blast, % Karyotype Gene mutation Diagnosis 2016 WHO 4th classification 2022 WHO 5th classification ICC classification 1 M 31 MDS-EB-1 3 4 46,XY,inv(3)(q21q26.2),+4 BCOR (p.D82fs), NRAS (p.G12A) AML with MECOM rearrangement MDS-EB 2 F 67 MDS-EB-1 0 8.4 46,XX,del(9)(q13q22) NPM1 (p.W288Cfs*12), IDH1 (p.R132H) AML with NPM1 mutation MDS-EB 3 F 67 MDS-EB-2 7 7 46,XX,del(20)(q11.2)+19,+21 NPM1 (p.W288fs), IDH2 (p.R140Q), TET2 (p.F868L) AML with NPM1 mutation MDS-EB 4 M 32 MDS-EB-2 10 16 46,XY,inv(3)(q21q26.2) NRAS (p.G12A) AML with MECOM rearrangement AML with GATA::MECOM 5 M 21 MDS-EB-2 6 10.8 46,XY,+del(1)(p13),-16,der(21)t(16;21)(p11;q22) None AML with other defined genetic alterations AML with other rare recurring translocations Abbreviations: M, male; F, female;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ICC, International Consensus Classification; MDS, myelodysplastic syndromes (neoplasms); AML, acute myeloid leukemia; PB, peripheral blood; BM, bone marrow; inv, inversion; del, deletion; der, derivative; EB, excess blasts.
총 5명 중 WHO 5판 분류에서는 5명 모두 AML로 재분류되었고, ICC 분류에서는 2명의 환자만 AML로 재분류되었다. 첫 번째 환자는 WHO 4판 분류법에서 MDS-EB-1으로 진단되었으나 세포유전학적 검사상 inv(3)(q21q28.2)가 발견되었는데, WHO 5판 분류법에서는 AML with MECOM rearrangement의 진단에 필요한 골수 내 모세포 분율의 최소 수치가 사라짐에 따라 AML로 재분류되었다. 반면 ICC 분류법에서는 그대로 MDS-EB로 진단되었다. 두 번째 및 세 번째 환자는 WHO 4판 분류법에서 MDS-EB-2로 진단되었으나 모두 NGS 검사상 NPM1 mutation이 발견되었는데 첫 번째 환자와 유사하게 WHO 5판 분류법에서는 AML with NPM1 mutation의 진단에 필요한 모세포 분율의 최소 수치가 사라짐에 따라 AML with NPM1 mutation으로 재분류되었다. 반면, ICC 분류법에서는 그대로 MDS-EB로 진단되었다. 네 번째 환자는 WHO 4판 분류법에서는 MDS-EB-2로 진단되었으나 세포유전학적 검사에서 inv(3)(q21q28.2)가 발견되어 첫 번째 환자와 동일하게 WHO 5판 분류법에서는 AML with MECOM rearrangement로 재분류되었으며, ICC 분류법을 적용하였을 때에도 AML with GATA::MECOM을 정의하는 골수 내 모세포의 최소 분율이 20%에서 10%로 낮아졌기 때문에 AML with GATA::MECOM으로 재분류되었다. 마지막 환자는 WHO 4판 분류법에서 MDS-EB-2로 진단되었으나 핵형분석에서 t(16;21)(p11;q22)이 발견되었는데, WHO 4판 분류법에서는 t(16;21)(p11;q22)이 존재하여도 진단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으나, WHO 5판과 ICC 분류법에서는 t(16;21)(p11;q22)가 검출되었을 때 골수 내 모세포 분율이 10% 이상일 경우에는 각각 AML with other defined genetic alterations와 AML with other rare recurring translocations로 재분류되었다.
4. WHO 4판 및 WHO 5판 분류법에 의한 MDS 환자의 진단 재분류 결과
WHO 4판 분류법에서 MDS로 진단된 환자 96명 중, WHO 5판 분류법에서 같은 MDS로 진단된 환자는 91명(94.8%)이었다(Table 2). 총 9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WHO 4판과 WHO 5판 분류법을 적용하였을 때의 진단 재분류 결과를 Fig. 1에 제시하였다. 이들 91명의 환자 중 WHO 4판과 5판 분류법을 각각 적용하였을 때 유사한 MDS 세부 분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된 환자는 65명(71.4%)이었고, 다른 MDS 세부 분류로 진단이 변경된 것으로 분석된 환자는 26명(28.6%)이었다.
-
Figure 1. Schematic illustration representing the reclassification results of MDS patient subtypes according to the 2016 WHO 4th and 2022 WHO 5th classifications.
Abbreviations: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MDS, myelodysplastic syndromes (neoplasms); del, deletion; SLD, single lineage dysplasia; MLD, multilineage dysplasia; EB, excess blasts; LB, low blasts; IB, increased blasts; h, hypoplastic; f, fibrosis; U, unclassifiable; N, number.
WHO 4판 분류법에서 MDS로 진단된 환자를 WHO 5판 분류법을 적용하여 재분류했을 때(Table 2, Fig. 1), WHO 4판 분류법에서 MDS-del(5q)로 진단된 1명은 2022년 WHO 5판 분류법에서도 그대로 MDS-5q로 분류되었다. WHO 4판 분류법에서 MDS-RS-SLD에 해당되는 3명과 MDS-RS-MLD에 해당되는 2명의 경우, WHO 5판 분류법에서 두 진단기준을 포함할 수 있는 세부 분류인 MDS-SF3B1으로 분류되었다. WHO 4판 분류법에서 MDS-SLD로 진단된 15명의 경우, WHO 5판 분류법에서 10명은 유사한 세부 분류인 MDS-LB로 분류되었고, 5명은 세포충실도가 낮아 MDS-h로 재분류되었다. WHO 4판 분류법에서 MDS-MLD로 진단되었던 23명 중 19명은 WHO 5판 분류법에서 유사한 세부 분류인 MDS-LB로 분류되었으나, 2명은 세포충실도가 낮아 MDS-h로 재분류되었고, 동반된 유전자이상 결과에 의해 각각 1명씩 MDS-SF3B1과 MDS-biTP53으로 재분류되었다.
WHO 4판 분류법에서 MDS-EB-1으로 진단되었던 28명의 환자 중 19명은 WHO 5판 분류법에서도 기존의 진단과 동일한 MDS-IB1으로 분류되었으나, 9명은 재분류되었는데, 5명은 MDS-biTP53으로, 1명은 MDS-h로, 1명은 MDS-f로 재분류되었고, 2명은 AML로 재분류되었는데 각각 1명씩 AML with MECOM rearrangement, AML with NPM1 mutation으로 재분류되었다.
WHO 4판 분류법에서 MDS-EB-2로 진단되었던 15명의 환자 중 11명은 WHO 5판 분류법에서도 기존의 진단과 동일한 MDS-IB2로 분류되었으나, 1명이 MDS-biTP53으로 재분류되었고, 3명은 AML로 재분류되었는데 각각 1명씩 AML with MECOM rearrangement, AML with NPM1 mutation, AML with other defined genetic alterations로 재분류되었다. WHO 4판 분류법에 의한 MDS-U는 WHO 5판 분류법에서 사라졌기 때문에 WHO 4판 분류법에서 MDS-U로 진단되었던 9명은 WHO 5판 분류법에서 각각 MDS-SF3B1 (1명), MDS-LB (3명), MDS-h (5명)로 재분류되었다. AML의 경우, WHO 4판 분류법에서 AML로 진단된 환자들은 WHO 5판 분류법을 적용하여 재분류했을 때에도 모두 AML로 분류되었다.
5. WHO 4판 및 ICC 분류법에 의한 MDS 환자의 진단 재분류 결과
WHO 4판 분류법에서 MDS로 진단된 환자 96명 중, ICC 분류법에서 같은 MDS로 진단된 환자는 94명(97.9%)이었다(Table 2). 총 9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WHO 4판과 ICC 분류법을 적용하였을 때의 진단 재분류 결과를 Fig. 2에 제시하였다. 이들 94명의 환자 중 WHO 4판과 ICC 분류법을 각각 적용하였을 때 유사한 MDS 세부 분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된 환자는 78명(83.0%)이었고, 다른 MDS 세부 분류로 진단이 변경된 것으로 분석된 환자는 16명(17.0%)이었다.
-
Figure 2. Schematic illustration representing the reclassification results of MDS patient subtypes according to the 2016 WHO 4th and ICC classifications.
Abbreviations: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ICC, International Consensus Classification; MDS, myelodysplastic syndromes (neoplasms); del, deletion; SLD, single lineage dysplasia; MLD, multilineage dysplasia; EB, excess blasts; NOS, not otherwise specified; MR, myelodysplasia-related; U, unclassifiable; N, number.
WHO 4판 분류법에서 MDS로 진단된 환자를 ICC 분류법을 적용하여 재분류했을 때, WHO 5판 분류법에 의한 재분류 결과와 동일하게 WHO 4판 분류법에서 MDS-del(5q)로 분류된 1명은 ICC 분류법에서도 MDS-del(5q)로, WHO 4판 분류법에서 MDS-RS-SLD와 MDS-RS-MLD로 분류된 3명과 2명은 ICC 분류법에서도 MDS-SF3B1으로 분류되었다. WHO 4판 분류법에서 MDS-SLD에 속하던 15명은 ICC 분류법에서도 동일한 세부 분류인 MDS, NOS with SLD로 분류되었다. 반면, WHO 4판 분류법에서 MDS-MLD로 진단되었던 23명의 환자 중 21명의 경우 ICC 분류법에서도 동일한 세부 분류인 MDS, NOS with MLD로 분류되었으나, 동반된 유전자이상 결과에 의해 각각 1명씩 ICC 분류법에서 MDS-SF3B1과 MDS-TP53로 재분류되었다.
WHO 4판 분류법에서 MDS-EB1으로 진단된 28명의 환자 중 24명은 ICC 분류법에서도 기존 진단과 유사한 MDS-EB로 진단되었으나, 동반된 유전자이상 결과에 의해 4명은 ICC 분류법에서 MDS-TP53으로 재분류되었다. WHO 4판 분류법에서 MDS-EB2로 진단된 15명의 환자 중 1명은 MDS-EB로 재분류되었고, 12명은 ICC 분류법에서는 MDS/AML로 명칭이 바뀌면서 4가지로 세분화되었는데, 동반된 세포, 분자유전학적 이상에 따라 6명이 MDS/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gene mutation, 2명이 MDS/AML-TP53, 2명이 MDS/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cytogenetic abnormalities, 2명이 MDS/AML, NOS로 진단되었다. 또한 2명의 환자가 AML로 재분류되었는데, 각각 1명씩 AML with GATA::MECOM, AML with other rare recurring translocations로 재분류되었다. WHO 4판 분류법에서 MDS-U로 진단된 9명의 환자는 ICC 분류법에서 8명이 MDS, NOS with SLD로 재분류되었고, 동반된 유전자이상 결과에 의해 1명이 MDS-SF3B1으로 재분류되었다. AML의 경우, WHO 4판 분류법에서 AML로 진단된 환자들은 ICC 분류법을 적용하여 재분류했을 때에도 모두 AML로 분류되었다.
2016년 WHO 4판 분류법과 비교하여 2022년 개정된 WHO 5판 및 ICC 분류법은 MDS 및 AML의 진단에서 공통적인 개선 방향이 있지만 일부 새롭게 포함된 진단명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MDS의 경우, 두 개정된 분류법은 모두 MDS-U와 같은 모호한 진단명을 제외하였고, SF3B1, biallelic TP53 mutation 등의 유전자이상을 포함하는 진단명을 추가하였다[5, 6]. 차이점이 있다면, WHO 5판 분류법에서는 MDS, hypoplastic과 MDS with fibrosis와 같이 형태학적 소견을 중시하는 진단을 새롭게 추가한 반면, ICC 분류법은 2016년 WHO 4판 분류법에서 MDS-EB-2로 진단이 되었을 환자들에 대해 MDS/AML이라는 새로운 진단명을 적용하였고[5, 6], 세부적으로 이들 내에서도 MDS/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gene mutation과 MDS/AML with myelodysplasia-related cytogenetic abnormalities, MDS/AML-TP53 등으로 진단명을 세분화하여 WHO 5판 분류법에 비해 세포, 분자유전학적 이상 결과에 더욱 비중을 두었다[6]. WHO 5판 분류법을 적용하고자 할 때 MDS의 진단에서 임상 검사실에서 환자 검체에 대해 적용이 어려운 사항으로는 biallelic TP53 inactivation의 검출을 들 수 있다. Biallelic TP53 inactivation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TP53 mutation이 관찰되거나 1개의 TP53 mutation과 함께 TP53 유전자의 copy number loss 또는 loss of heterozygosity (LOH)의 증거가 있어야 하는데[13, 14], 만약 NGS 검사에서 1개의 TP53 mutation만 검출된 경우, 17p13.1에 위치한 TP53 locus에 특이적인 프로브를 이용한 FISH 검사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arrays 등의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1개의 TP53 mutation이 관찰되었으나 variant allele frequency (VAF)가 50% 이상일 경우, constitutional TP53 variant가 배제된다면 TP53 유전자의 copy number loss 또는 LOH가 존재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지만[13], 동등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FISH나 SNP arrays의 시행이 필요하게 된다.
AML의 경우, WHO 4판 분류법에서는 PML::RARA, CBFB::MYH11, RUNX1::RUNX1T1 등을 제외하고는 AML의 진단을 위한 골수 내 최소 모세포 분율인 20%가 유지되고 있었으나, WHO 5판 분류법에서는 CEBPA mutation, BCR::ABL1 유전자이상을 제외하고, WHO 5판 분류법에 명시된 특정 유전자이상을 보일 때 AML의 진단을 위한 골수 내 최소 모세포 분율(20%)이 삭제되는 변화가 있었다[1, 5]. 따라서, WHO 4판 분류법에서 MDS with SLD, MDS with MLD, MDS-EB-1 등으로 진단된 골수 내 모세포 분율이 10% 미만인 환자도 특정 유전자이상이 검출된다면 WHO 5판 분류법에서는 AML로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ICC 분류법에서는 BCR::ABL1, TP53 mutation은 모세포 분율이 20% 이상일 경우 AML로 진단이 되지만 이들을 제외한 특정 유전자이상이 보일 경우 모세포 분율이 10–20%인 환자에서도 AML로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6]. 따라서, ICC 분류법을 적용할 때 WHO 4판 분류법에서 MDS-EB-2로 진단된 환자가 MDS/AML로 진단이 되며, 이 중 BCR::ABL1, TP53 mutation을 제외한 특정 유전자이상이 보일 경우 AML로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WHO 4판 분류법에서 MDS로 진단된 96명의 환자 중 5명(5.2%)의 환자가 WHO 5판 또는 ICC 분류법에서 AML로 재분류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들은 2명이 MDS-EB-1, 3명이 MDS with EB-2로 진단되었던 경우였는데 동반된 세포 및 분자유전학적 이상 소견으로 인해 WHO 5판 분류법에서는 모두 AML로 진단이 변경되었으며, ICC 분류법에서는 2명의 MDS with EB-2 환자만 AML로 진단이 변경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AML 진단에서 골수 내 모세포 분율의 최소치를 엄격히 적용하는 경우가 보다 적은 WHO 5판 분류법을 적용할 때, ICC 분류법에 비해 차후에 세포 및 유전학적 검사 결과에 따라 MDS에서 AML로 진단이 변경되는 경우가 보다 늘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반면, 임상 검사실에서는 세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 결과가 골수의 형태학적 검경 소견보다 결과 보고까지의 소요시간(turnaround time, TAT)이 길기 때문에, WHO 5판 분류법을 새로이 임상에 적용할 때에는 세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의 TAT 단축이 골수검사의 진단 정확도 향상과 임상의들의 혼란을 줄일 수 있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2016년 WHO 4판 분류법을 적용하였을 때 MDS로 진단된 환자 중 28.6%, 17.0%의 환자가 2022년 WHO 5판 분류법, ICC 분류법을 적용하였을 때 MDS 진단의 세부 분류가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환자들은 대부분 개정된 분류법에서 MDS 진단의 세부 분류에 SF3B1, biallelic TP53 mutation 등의 분자유전학적 검사 결과가 추가되어 발생한 결과였다. WHO 5판 분류법에서 MDS 진단의 세부 분류 변경 비율이 ICC 분류법에 비해 높았는데, 이는 WHO 5판 분류법에서 MDS-h, MDS-f 등 형태학적 소견이 진단에 추가되어서 발생한 것[5]과, WHO 4판 분류법의 MDS-EB-2 진단명이 ICC 분류법에서 MDS/AML로 변경되었는데 본 연구에서 이들을 유사한 세부분류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결과[6]로 판단된다. 따라서, MDS의 진단에서 개정된 분류법을 적용할 때, WHO 5판 분류법을 적용할 때는 골수 생검조직의 형태학적 소견을 정확히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며, 두 가지 개정된 분류법 모두 세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의 TAT 단축이 골수검사의 진단 정확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WHO 4판 분류법에 의해 MDS로 진단된 환자 중 5.2%의 환자가 WHO 5판 또는 ICC 분류법에 의해 AML로 재분류되었으며, 28.6%, 17.0%의 환자가 각각 WHO 5판 분류법, ICC 분류법을 적용하였을 때 MDS 진단의 세부 분류가 변경되었다. 개정된 분류법을 적용할 때, 골수생검조직의 형태학적 소견, 세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의 TAT 단축이 골수검사의 진단 정확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Swerdlow SH, Campo E, et al, eds. WHO classication of tumours of haematopoietic and lymphoid tissues. Revised 4th ed. Lyon, Franc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17:129-71.
- Tefferi A, Vardiman JW. Myelodysplastic syndromes. N Engl J Med 2009;361:1872-85.
- Greenberg PL, Stone RM, Al-Kali A, Bennett JM, Borate U, Brunner AM, et al. NCCN Guidelines® insights: Myelodysplastic syndromes, version 3.2022. J Natl Compr Canc Netw 2022;20:106-17.
- Pollyea DA, Bixby D, Perl A, Bhatt VR, Altman JK, Appelbaum FR, et al. NCCN Guidelines insights: acute myeloid leukemia, version 2.2021. J Natl Compr Canc Netw 2021;19:16-27.
- Khoury JD, Solary E, Abla O, Akkari Y, Alaggio R, Apperley JF, et al. The 5th edi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haematolymphoid tumours: myeloid and histiocytic/dendritic neoplasms. Leukemia 2022;36:1703-19.
- Arber DA, Orazi A, Hasserjian RP, Borowitw MJ, Calvo KR, Kvasnicka HM, et al. International Consensus Classification of myeloid neoplasms and acute leukemias: integrating morphologic, clinical, and genomic data. Blood 2022;140:1200-28.
- Falini B, Martelli MP. Comparison of the International Consensus and 5th WHO edition classifications of adult myelodysplastic syndromes and acute myeloid leukemia. Am J Hematol 2023;98:481-92.
- Zhang Y, Wu J, Qin T, Xu Z, Qu S, Pan L, et al. Comparison of the revised 4th (2016) and 5th (2022) edition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myelodysplastic neoplasms. Leukemia 2022;36:2875-82.
- Huber S, Baer C, Hutter S, Dicker F, Meggendorfer M, Pohlkamp C, et al. AML classification in the year 2023: how to avoid a Babylonian confusion of languages. Leukemia 2023;37:1413-20. to avoid a Babylonian confusion of languages. Leukemia 2023;37:1413-20.
- Lee C, Kim HN, Kwon JA, Yoon SY, Jeon MJ, Yu ES, et al. Implications of the 5th edi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and International Consensus Classification of myeloid neoplasm in myelodysplastic syndrome with excess blasts and acute myeloid leukemia. Ann Lab Med 2023;43:503-7.
- Kim HY, Kim B, Lee J, You S, Kim IS, Kim H, et al. TP53 mutational status in myelodysplastic neoplasm and acute myeloid leukemia: impact of reclassification by WHO 2022 and ICC criteria - a Korean multi-center study. Blood 2023;142(S1):4222.
- McGowan-Jordan J, Hastings RJ, et al. ISCN 2020: an international system for human cytogenomic nomenclature (2020), Reprinted ed. Basel, Switzerland: S. Karger AG, 2020.
- Bernard E, Nannya Y, Hasserjian RP, Devlin SM, Tuechler H, Medina-Martinez JS, et al. Implications of TP53 allelic state for genome stability, clinical presentation and outcomes in myelodysplastic syndromes. Nat Med 2020;26:1549-56.
- Grob T, Al Hinai ASA, Sanders MA, Kavelaars FG, Rijken M, Gradowska PL, et al.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utant TP53 acute myeloid leukemia and high-risk myelodysplastic syndrome. Blood 2022;139:2347-54.